경제와 정치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5화 – 카카오: 플랫폼 제국의 구조조정, 다시 성장할 수 있을까?

B컷개발자 2025. 5. 29. 16:28
728x90

한때 시총 3위까지 올랐던 카카오는 2025년 현재, 구조조정과 전략 변화의 한복판에 있습니다. 본업인 플랫폼의 성장 정체와 AI·콘텐츠 전환의 실질 효과, 투자자 입장에서의 주요 이슈를 진단합니다.

카카오는 어떤 기업인가?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급성장한 디지털 플랫폼 기업입니다. 커머스, 모빌리티, 콘텐츠, 금융, 웹툰 등 다양한 영역에 계열사를 두고 있으며, ‘카카오 공동체’ 구조를 통해 확장해왔습니다.

하지만 2022년 데이터센터 화재, 경영진 리스크, 핵심 임원 퇴사 및 투자 실패 등으로 신뢰가 흔들리며 2023~2024년은 정체기이자 구조 재편의 시기였습니다. 2025년 현재는 “선택과 집중” 전략 하에 슬림화와 수익성 회복을 시도 중입니다.


사업 구조 및 주요 계열사 (2024년 기준)

사업부문 주요 사업 대표 계열사

플랫폼 카카오톡, 광고, 톡비즈 카카오
커머스 선물하기, 톡스토어 카카오커머스
콘텐츠 웹툰, 음악, 게임, 드라마 카카오엔터, 멜론, 카카오게임즈
모빌리티/핀테크 카카오T, 카카오페이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
AI/클라우드 KoGPT, 카카오 i 카카오브레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

2024년부터는 엔터·AI 중심의 핵심 계열사 위주로만 사업 재편 중이며, 비효율 사업은 매각 또는 정리 중입니다.


최근 3년 실적 요약

연도 매출 (조 원) 영업이익 (조 원) 순이익 (조 원) 영업이익률 (%) ROE (%)

2022 7.1 0.5 0.4 7.0 5.1
2023 7.7 0.4 0.3 5.2 4.3
2024E 8.3 0.6 0.5 7.2 5.8
  • 수익성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영업이익률은 경쟁 플랫폼 대비 열세입니다.
  • 웹툰·엔터 사업의 글로벌 매출 증가가 실적을 견인하고 있으며, 플랫폼 본업은 정체 상태입니다.

현재 주가 및 시장 평가

2025년 5월 현재 카카오의 주가는 48,000원 내외, 시가총액은 약 21조 원 수준입니다. PER는 약 30배, PBR은 1.2배로, 과거 고밸류 대비 많이 낮아졌습니다.

증권가 주요 평가

  • **“구조조정 중인 빅테크”**로 평가되며, 향후 이익 개선 여부에 따라 재평가 여지 있음
  • 카카오톡 광고 수익은 정체, 대신 카카오엔터 IPO 및 글로벌 콘텐츠 흥행이 변수
  • KoGPT 활용 AI BM은 아직 실질 수익화가 미미함

투자자 관점 체크포인트

✅ 긍정 요인

  1. 카카오톡 플랫폼의 견고한 사용자 기반
    • MAU(월간 활성 사용자) 4천만 명 이상 유지
    • 광고·비즈니스툴 연계 기반은 여전히 안정적
  2. 카카오엔터의 글로벌 진출 확대
    • 일본 픽코마, 북미 웹툰 수익화 진전
    • K콘텐츠 확산 흐름과 맞물림
  3. 모빌리티의 수익성 확대
    • 수수료 체계 개편, 택시 가맹 확대
    • IPO 준비 재개 움직임
  4. AI 전환 초기 시도
    • KoGPT, 카카오워크, AI 챗봇 등 기술 내재화

⚠️ 리스크 요인

  1. 핵심 BM의 성장 한계
    • 메신저 기반 광고 수익의 성장률 둔화
    • 커머스 경쟁 심화로 수익성 악화
  2. 콘텐츠 불확실성
    • 카카오픽코마, 멜론 등 콘텐츠 플랫폼 간 수익성 편차 큼
    • 글로벌 OTT 경쟁 심화
  3. 조직 신뢰 회복 지연
    • CEO 잦은 교체, 내부 리스크
    • ESG 지표 부정적 평가
  4. AI 투자 대비 수익화 부족
    • KoGPT BM화 느림, 글로벌 LLM 대비 기술력 불확실

인사이트 요약

카카오는 여전히 ‘국민 앱’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파워를 지니고 있지만, 과거의 성장 공식을 더는 적용할 수 없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카카오톡이라는 거대한 유입 채널을 중심으로 얼마나 콘텐츠·커머스·AI로의 고부가 확장에 성공할 수 있느냐가 핵심입니다.

2025년 이후 재평가 가능성은 있지만, 실적의 가시성과 기술 차별화가 증명되기 전까지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많습니다.


참고 자료

  • 카카오 IR 자료 (2023~2025)
  •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자료
  • 미래에셋, 메리츠, 유안타 증권 리서치
  • DART 공시, Bloomberg, ZDNet Korea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