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4화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의 통합 전략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eGovFrame)는 오랜 시간 동안 공공정보시스템 개발의 기준으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공공 IT 시스템도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민간 시스템에서 활용되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의 도입이 공공영역에서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GovFrame 환경에서 MSA를 어떻게 통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략적 이점은 무엇인지 분석해보겠습니다.
eGovFrame의 기존 한계와 MSA로의 진화 필요성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모놀리식 구조(monolithic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구조는 초기 도입 시에는 빠른 개발과 통합에 유리하지만, 서비스가 커지고 유지보수 및 확장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한계에 직면합니다.
- 모듈 간 높은 결합도: 하나의 WAR 파일에 다수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변경이 어렵다.
- 배포 유연성 부족: 특정 기능 하나 수정에도 전체 시스템 재배포가 요구됨.
- 운영 이슈: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음.
이러한 점에서 최근 공공사업 RFP에서는 ‘모듈 단위의 독립 배포’ 또는 ‘도메인 단위의 서비스 분리’가 필수 요구사항으로 제시되며, MSA 기반 구조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v4.3.0 기준, eGovFrame의 MSA 연계 기능 현황
2024년 12월 릴리즈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v4.3.0은 기존에 비해 다양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특히 MSA와의 연계를 위한 구성요소들이 점진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1. 공통 컴포넌트 재구성 및 슬림화
- 기존 모놀리식 구조를 명확히 분리할 수 있도록, 공통 컴포넌트들이 모듈화되어 별도 Maven artifact로 제공
- Spring Boot 기반 프로젝트와도 점진적으로 호환성 확보
2. RESTful API 중심 아키텍처 강화
- JSON 기반의 API 표준 명세 템플릿 제공
- Spring REST Docs, Swagger(OpenAPI 3.0) 연계 방안 문서화
3. 서비스 간 통신 구조 제시
- MSA 기반 환경에서 서비스 간 통신은 REST 또는 Kafka와 같은 메시지 기반 아키텍처로 구현
- eGovFrame 활용 시 이를 위해 Spring Cloud 기반 설정과 병행하는 예시 제공
4. CI/CD 기반 DevOps 전략 가이드 포함
- Jenkins + GitHub + Nexus를 활용한 MSA 개발환경 샘플 제공
- Docker + Kubernetes 환경을 위한 컨테이너 가이드 추가
통합 전략 – eGovFrame 기반의 MSA 적용 시나리오
전자정부 시스템에서 마이크로서비스 구조를 점진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방식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1. 헥사고날 아키텍처 기반 분리 설계
- 내부 도메인 로직과 외부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개발
- 도메인 단위로 API를 독립적으로 정의하고, 서비스 간 의존성을 낮춤
2. 공통 기능을 서비스화 (Ex: 인증, 코드관리, 감사로그 등)
- 기존 공통컴포넌트를 마이크로서비스로 분리 (auth-service, logging-service 등)
- 재사용성과 유지보수를 동시에 확보
3. 전환 단계별 이관 전략 수립
- 신규 시스템부터 MSA 구조 도입 → 점진적 이관
- 기존 eGovFrame 기반 시스템은 Gateway 패턴 도입을 통해 API 중심 연계 유도
4. 통합 테스트 및 모니터링 체계 확보
- Spring Cloud Sleuth, Zipkin, Prometheus, Grafana 등의 오픈소스 활용
- MSA 구조는 배포 이후 장애 원인 파악이 어려우므로 초기부터 로그/모니터링 체계를 설계해야 함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 MSA로의 전환, 가능한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100% 순수 MSA로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점진적 통합은 충분히 가능하며 권장할 만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는 큰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 신규 구축 프로젝트
- 성능과 확장성이 중요한 민원 처리 시스템
- 독립적인 도메인을 가진 대민 서비스(API 기반)
공공 시스템 특성상 레거시 연계 및 보안 요구사항이 엄격하기 때문에, Spring Cloud Gateway, OAuth2 기반 API 인증, 보안 로그 일관성 확보와 같은 측면도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여전히 강력한 개발 템플릿이지만, 디지털 정부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보다 유연하고 모듈화된 아키텍처로의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eGovFrame도 v4.3.0을 기점으로 MSA를 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개발자와 기획자는 이제 표준과 유연성의 균형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