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20화 – 공정 흐름 기반 대시보드 설계 전략: 제조 KPI 시각화의 실전 구조
스마트팩토리는 데이터를 모으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그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하고,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보여주느냐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집니다. 이번 20화에서는 제조 공정의 흐름을 시각화하는 대시보드 설계 전략을 중심으로, KPI 기반 시각화, 운영 현장과의 연결성,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등을 통합적으로 다룹니다.
1. 제조 대시보드의 진화: 보고서에서 운영도구로
전통적으로 제조 대시보드는 단순한 모니터링, 정기 리포트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선 다음과 같은 기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실시간 이벤트 기반 반응
- 현장 오퍼레이터 중심 인터페이스 구성
- KPI 간 상호관계 연동 및 원인 분석 기능 탑재
- AI 기반 예측/알림 연계
즉, 대시보드는 단순 시각화가 아닌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는 중입니다.
2. 공정 흐름 기반 대시보드란?
대부분의 제조 대시보드는 KPI 나열형으로 설계됩니다. 예: OEE, Takt Time, NG률, MTTR 등. 하지만 이것만으론 공정의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흐름 기반 대시보드 특징:
- 공정 순서에 따라 시각화 구조 배치 (라인 맵 기반)
- 단계 간 연계 지표 구성 (예: 공정 A 이상 → 공정 B 납기 영향)
- 알림/경고 발생시 흐름 변화 강조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단일 KPI가 아닌, 프로세스 상 흐름 구조로 문제를 인식하게 됩니다.
3. 핵심 KPI 설계 원칙
공정 흐름 대시보드의 KPI는 단순 수치 나열이 아닌, 행동 유도형 구조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설계 기준:
- 측정 목적 명확화 (단순 확인 vs 개선 유도)
- 시간 기준 설정 (Shift, Batch, Day 등)
- 역할별 KPI 정의
- 작업자: 실적, Takt Time, 불량 경고
- 관리자: 설비 가동률, 라인 수율, 병목 공정
- 경영진: 공장 전반 OEE, 납기율, 재작업 비용
- 이벤트 기반 KPI 표시
- 변화 발생 시점에 색상/경고 연동
4. 대시보드 구조 설계 사례
1) 레이아웃 중심 – 공정 맵 방식
- 공정 흐름도 형태로 배치
- 각 공정에 실시간 KPI 삽입
- 흐름 중단 시 경고 흐름 애니메이션 적용
2) 역할 중심 – 사용자별 맞춤 뷰
- 오퍼레이터: 간단/즉각적 인터페이스, 모바일 우선 설계
- 엔지니어: Drill-down 기능, 세부 공정 분석
- 관리자: 종합 KPI 요약 + 현장 지표 비교
3) AI 연동 – 예측 기반 강조 뷰
- 품질 예측 결과 강조 영역
- 예지보전 스코어와 설비 OEE 연결
- 재작업 위험 공정 강조 표시
5. 주요 도입 플랫폼과 연동 전략
제조 대시보드 구축 시 주요 연동 대상:
- MES: 실적, 공정 이력, 생산 이벤트
- SCADA/IoT: 설비 상태, 센서 값, 알람
- ERP: 납기, 주문 정보, 원가 분석
- AI 플랫폼: 예측 결과, 이상탐지 결과
기술 구성 요소:
- Frontend: React, Angular, Vue 기반 대시보드 툴
- Backend: TimescaleDB, InfluxDB, Kafka, REST API
- 통신: OPC-UA, MQTT 기반 실시간 스트림
대시보드는 ‘디지털 운영의 창’이다
스마트팩토리 성공의 핵심은 ‘데이터 → 인사이트 → 행동’의 루프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 중심에 대시보드가 있습니다.
공정 흐름 기반으로 구성된 대시보드는 단순 모니터링을 넘어 문제의 위치와 원인을 빠르게 인식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실시간 운영 도구입니다.
모든 대시보드에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KPI가 있고, 사용자 맥락이 있고, 흐름의 구조가 있어야 합니다. 그럴 때만이 제조 데이터는 성과로 이어지는 실행력을 갖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