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CP: AI와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표준기술과 산업/AI 2025. 4. 2. 10:34728x90
1. MCP란 무엇인가?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은 앤트로픽(Anthropic)이 제안한 오픈소스 표준으로, AI 모델이 다양한 외부 시스템 및 데이터 소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AI가 단순한 프롬프트-응답 구조를 넘어, 실시간으로 외부 자원과 통합되고, 명령 실행 및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진정한 작업 파트너로 진화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입니다.
개발자의 입장에서 MCP는 단순히 "연결"의 수단을 넘어, AI와 소프트웨어 도구들 사이의 통합 환경을 구현하는 핵심 인터페이스입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코드 리포지토리, 슬랙, 웹 API, 터미널, DB 같은 다양한 시스템들을 LLM이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만드는 것이죠. 기존에는 각 도구에 맞춘 커넥터를 따로 만들고 유지보수해야 했다면, MCP는 이 과정을 표준화하고 단순화합니다.
결과적으로, MCP는 AI가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람과 협업하고,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강력한 기반 기술입니다.
2. MCP 구조: 아키텍처 구성요소
MCP는 전형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MCP Host: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LLM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고 연결을 시작합니다.
- MCP Client: 서버와의 통신을 중개하는 컴포넌트로, 일반적으로 Host 내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MCP Server: 다양한 기능(예: API 호출, 파일 접근 등)을 실행하는 서버 역할을 합니다.
- Local Resources: MCP 서버가 직접 접근 가능한 파일, DB, CLI 등 로컬 자원입니다.
- Remote Resources: 인터넷 기반의 외부 리소스(API, SaaS 등)입니다.
3. MCP의 핵심 기능
- 최신 웹 검색 연동 (BraveSearch)
- README 및 기술 문서 자동 생성
- Git 작업 자동화 (커밋, 브랜치, 푸시 등)
- Slack 메시지 수신 및 자동 응답
- 로컬 파일 시스템 및 로그 분석
- REST API 통합과 결과 기반 응답 생성
4. MCP의 장점
- 오픈소스 표준으로 누구나 구현 가능
- 보안 내장 설계로 인증 정보 분리 가능
- 유지보수 효율성: 단일 프로토콜로 다양한 시스템 연결
- 높은 확장성: 서버 모듈을 독립적으로 구성 가능
- 컨텍스트 유지로 LLM 응답 품질 향상
5. 마무리
MCP는 단순한 통신 수단이 아닌, LLM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기반입니다. 직접 MCP 서버를 구현해보면, AI가 실제 개발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체감하게 됩니다.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실제 사용자 워크플로우에 밀착된 AI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지금이 바로 MCP를 실험해볼 최적의 타이밍입니다.
728x90'기술과 산업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 인식 기술의 판을 바꾼 OpenAI Whisper, 왜 주목해야 하는가? (0) 2025.04.12 2025년 음성 AI 시장 들여다보기: Whisper부터 Naver CLOVA까지, STT & TTS 벤치마킹 리포트 (1) 2025.04.07 [영상요약] AI 활용법: 비용 부담 없는 실용적 툴 소개 (1) 2025.01.19 AI 에이전트 소개 (0) 2025.01.08 macOS에서 Ollama 사용하기 (4)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