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정치
-
100대 상장사 분석 38화 – 삼성SDS: 디지털전환 핵심 파트너, 그 진짜 경쟁력은?경제와 정치 2025. 7. 2. 11:03
삼성SDS는 단순 IT서비스 기업이 아닙니다. 클라우드, AI, 물류 솔루션까지 디지털 전환의 본질에 깊숙이 관여하는 이 기업의 전략과 수익 구조를 분석합니다. 삼성SDS는 어떤 회사인가? 삼성SDS는 1985년 삼성그룹의 전산실을 모태로 설립된 삼성그룹의 IT 서비스 전문 기업입니다.많은 투자자들이 ‘그냥 그룹 내부 IT를 맡는 회사 아니야?’ 정도로 치부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B2B 클라우드, AI, 물류 최적화, 보안 등 디지털 전환 전 영역을 커버하는 구조로 진화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단순 외주 개발에서 벗어나 플랫폼 중심의 사업 모델 전환, 그리고 물류 BPO 서비스의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사업 구조: IT서비스와 물류BPO의 두 축 삼성SDS의 매출은 크게 IT서비스 부문과 물류BP..
-
100대 상장사 분석 38화 – SK텔레콤: AI 통신을 향한 수직 질주경제와 정치 2025. 7. 1. 12:16
통신사가 아니라 AI 컴퍼니? SK텔레콤의 정체성 변화 한때는 단순한 이동통신사로 불리던 SK텔레콤이 이제는 “AI 컴퍼니”를 자처하고 있습니다. 단지 마케팅 슬로건이 아니라, 실제 사업 구조와 전략 방향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본격화된 이 AI 전환 전략은 단순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넘어, AI 기반 플랫폼 기업으로의 재정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통신 매출의 정체 속에서 새로운 성장 축을 발굴하려는 전략적 시도로 읽힙니다. 실적 구조의 이중성: 안정적 캐시카우 vs 미래 투자의 딜레마 SK텔레콤의 매출 구조는 크게 세 갈래로 나뉩니다. MNO (이동통신): 여전히 전체 매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SKT의 가장 안정적인 캐..
-
100대 상장사 분석 35화 – LX세미콘: 팹리스 대표주자, 반도체 독립을 향한 질주경제와 정치 2025. 6. 26. 17:21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차량용 반도체, SoC(System on Chip) 시장은 몇 년 전만 해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대형 메모리 업체 중심으로만 조명됐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팹리스(Fabless) 기업들의 존재감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기업이 바로 LX세미콘입니다. LG그룹에서 독립한 팹리스 기업이라는 태생적 배경과 함께, 자동차 반도체 수요 증가,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 흐름에 올라탄 대표 기업 중 하나죠. 이번 글에서는 이 기업이 어떤 구조로 성장해왔고, 어떤 산업적 포지션을 점유하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의 존재감: 팹리스 기업으로 성장 LX세미콘은 반도체 제조라인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설계에만 집중하는 팹리스(Fabless) 모..
-
100대 상장사 분석 34화 – LG유플러스: B2B 전환 가속화, 통신 그 이상으로경제와 정치 2025. 6. 26. 17:19
국내 통신 3사 중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존재감이 약하다고 평가되던 LG유플러스는, 지난 3년간 조용하지만 강하게 체질 개선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단순한 통신 서비스 제공자를 넘어, B2B 중심 플랫폼 사업자로의 전환을 선언한 이후 실적과 전략 모두에서 의미 있는 신호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부터 본격화된 기업용 통신 및 스마트팩토리·물류 솔루션 등 B2B 사업 강화는 LG유플러스가 기존 한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곡선을 만들 수 있을지를 가늠할 핵심 포인트로 떠올랐습니다. 통신 3위의 현실, 하지만 정체된 ‘통신’에서 벗어난다 LG유플러스는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IPTV 등 소비자 대상의 전통적인 통신 3대 사업 부문에서 꾸준한 매출을 유지하고 있으나, 시장점유율은 3위에 머무르고 있..
-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33화 – 현대오토에버: 소프트웨어가 자동차를 움직이는 시대의 중심경제와 정치 2025. 6. 22. 13:10
현대오토에버는 현대차그룹의 소프트웨어(SW) 총괄사로, 차량 통합 OS, 스마트팩토리, 모빌리티 플랫폼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심장’이 된 이 기업의 전략을 분석한다. 1. 기업 개요 설립: 2000년 (현대차그룹의 IT 계열사)상장시장: 코스피2025년 시가총액: 약 8조 원사업영역: 차량 SW 플랫폼, 스마트팩토리, 모빌리티 서비스, 그룹 IT 시스템 현대오토에버는 단순한 IT 서비스 회사를 넘어, 이제는 현대차그룹의 ‘소프트웨어 DNA’를 구현하는 핵심 계열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커넥티드카,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등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필수적인 기업입니다. 2. 사업 구조부문주요 내용매출 비중 (2024)차량 SW 플랫폼차량 ..
-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32화 –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의 개척자, 지금은 ‘통합과 글로벌’의 시간경제와 정치 2025. 6. 22. 13:04
셀트리온은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선도해 온 대표 기업이다.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3강 도약을 위한 ‘셀트리온 통합 전략’과 신약 개발, 북미 공략 등 셀트리온의 현재 위치와 미래 시나리오를 짚는다. 1. 기업 개요 설립연도: 2002년상장시장: 코스닥 → 코스피 이전 상장시가총액 (2025년): 약 25조 원주요사업: 바이오시밀러(복제약), 항체 신약 개발, CMO(위탁생산), 글로벌 유통주요 계열사: 셀트리온헬스케어(판매), 셀트리온제약(내수/케미컬) 셀트리온은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유럽 점유율 1위를 차지한 국내 대표 제약바이오 기업이며, 최근에는 3사 통합을 통해 중장기적인 사업 구조 재정비에 나선 상태입니다. 2. 사업 구조 및 제품군제품군약품명적응증바이오시밀러램시마, 트룩시마, 허쥬..
-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31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산에서 우주까지, ‘국가 전략기업’의 진화경제와 정치 2025. 6. 22. 13: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방산·항공 산업의 핵심 축이다. 항공엔진, 방산 수출, 위성 발사체, 우주산업까지 아우르는 종합 방산그룹으로서의 입지를 분석하고, 최근 방산 수출 급증과 미래 전략을 짚어본다. 1. 기업 개요 설립연도: 1977년 (삼환기업 → 삼성테크윈 → 한화테크윈)상장시장: 코스피2025년 시가총액: 약 12조 원사업영역: 항공엔진, 지상무기, 위성·우주산업, ICT 장비, 민수기계 등지배구조: 한화그룹 핵심 계열사로, 한화시스템·한화디펜스 통합 이후 통합 방산기업으로 자리잡음 2. 사업 구조부문주요 내용비중방산지상무기(K9 자주포), 방공체계, 미사일, 항공무기약 65%항공우주항공기 엔진, 위성, 발사체, 무인기약 20%민수기계압축기, 보일러, 방산 부품 외약 10%기타ICT 솔루션,..
-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29화 – 넷마블: 외형은 대기업, 실속은 아직?경제와 정치 2025. 6. 18. 16:12
넷마블은 국내 대표 게임 퍼블리셔에서 글로벌 지식재산권(IP) 확보 기업으로 방향을 바꾸고 있다.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자산가치와 미래 성장 시나리오가 주목받는 이유를 분석한다. 1. 기업 개요 설립연도: 2000년상장년도: 2017년 (코스피)창업자: 방준혁 의장사업영역: 모바일 게임 개발 및 유통, IP 확보, 메타버스·블록체인 투자2025년 시가총액: 약 4.7조 원 넷마블은 한때 ‘리니지2 레볼루션’의 대성공을 통해 한국 모바일 게임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했지만, 이후 수익성 부진과 신작 부재로 주가와 실적이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넷마블은 단순 게임 퍼블리셔가 아니라, 글로벌 콘텐츠 자산과 지배구조 영향력을 동시에 갖춘 기업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주목할 만한 종목입니다. 2.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