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ython 마스터 시리즈 4화 – 조건문 if, elif, else 구조와 실전 패턴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3. 09:57728x90
파이썬 조건문 if, elif, else 문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실전 코딩 패턴과 함께 조건문 작성 시 주의할 점, 코드 최적화 방법까지 전문가 시선으로 정리합니다.
조건문은 단순 분기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조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 구조다.
하지만 단순히 if, elif, else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복잡한 실제 상황을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없다.
특히 파이썬은 다른 언어보다 더 명확하고 직관적인 조건문 구문을 제공하지만,
그만큼 가독성과 로직의 깔끔함이 요구된다.
이번 글에서는 문법 자체는 물론,
실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조건문 작성 패턴까지 심도 있게 다룬다.
조건문 기본 구조와 고급 패턴
기본 if 문 구조
if 조건식: 실행문
- 조건식이 참(True)이면 들여쓰기된 실행문이 실행된다.
- 조건식은 반드시 불리언(bool) 값으로 평가된다.
예시:
x = 10 if x > 5: print("5보다 큽니다.")
if-else 구조
if 조건식: 실행문1 else: 실행문2
- 조건식이 참이면 실행문1, 거짓이면 실행문2가 실행된다.
예시:
age = 18 if age >= 20: print("성인입니다.") else: print("미성년자입니다.")
if-elif-else 구조
if 조건식1: 실행문1 elif 조건식2: 실행문2 else: 실행문3
- 다중 분기 처리가 가능하다.
- 위에서부터 차례로 평가되며, 첫 번째 참인 조건식에 해당하는 실행문만 실행된다.
예시:
score = 85 if score >= 90: print("A등급") elif score >= 80: print("B등급") else: print("C등급")
중첩 if 문
조건문 안에 또 다른 조건문을 작성할 수 있다.
x = 10 y = 5 if x > 0: if y > 0: print("x와 y 모두 양수입니다.")
- 중첩 구조는 반드시 들여쓰기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 중첩이 깊어질수록 가독성이 떨어지므로, 가능한 한 단순하게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조건문 최적화 패턴
여러 조건을 and, or로 묶기
if 0 < x < 100: print("x는 0과 100 사이에 있습니다.")
- 파이썬은 수학적 표현처럼 범위 조건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if x > 0 and y > 0: print("둘 다 양수입니다.")
조건문을 간결하게 쓰는 방법 (삼항 연산자)
result = "양수" if x > 0 else "음수 또는 0" print(result)
- 단일 조건에 대해 결과를 분기할 때는 삼항 연산자를 활용하면 코드가 깔끔해진다.
실전에서 조건문을 잘 다루는 방법
단순한 조건 분기가 아니라,
명확한 의사결정 흐름을 코드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건문 최적화의 핵심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분기가 많아지면 반드시 가독성을 우선한다.
- 불필요한 중첩은 줄이고, 범위 조건, and/or 조합을 적극 활용한다.
- 코드 리뷰 단계에서 항상 “이 조건문이 명확하게 읽히는가”를 스스로 점검한다.
또한,
조건문 내부가 너무 복잡해진다면 과감히 별도 함수로 분리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복잡성은 코드의 숨은 비용을 증가시킨다.
정리
- if, elif, else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중첩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 조건문 작성 시 항상 가독성과 명확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 실전에서는 범위 표현, 논리 연산자 조합, 삼항 연산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코드를 최적화한다.
- 조건문은 로직 흐름의 핵심 뼈대가 되기 때문에, 세심한 설계가 필수적이다.
728x90'기술과 산업 > 언어 및 프레임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stAPI 시리즈 5화 - Swagger UI와 ReDoc: 자동 문서화의 힘 (1) 2025.05.04 Spring Boot 시리즈 25편 – 멀티 프로파일 설정 전략: dev/staging/prod 환경 분리 실전 가이드 (0) 2025.05.04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2화 – 왜 아직도 eGovFrame이 중요한가: 공공 SW의 현실과 입찰 생태계 (0) 2025.05.03 FastAPI 시리즈 4화 -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데이터 핸들링: Pydantic 모델 이해하기 (0) 2025.05.03 Spring Boot 시리즈 24편 – Swagger와 SpringDoc을 활용한 API 문서 자동화 전략 (0)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