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별 데이터 수집 전략 가이드 시리즈 - 3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실전 활용법: 위치 기반 데이터로 인사이트 만들기기술과 산업/AI 2025. 5. 7. 15:59728x90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에서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Python과 지도 시각화를 활용해 실전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도시 생활 정보’의 보물창고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은 서울시가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포털입니다.
특징은 단순 통계 외에 실시간 위치 기반 데이터가 풍부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 🚍 버스 정류장 위치 및 실시간 도착 정보
- 🚇 지하철 역사별 혼잡도
- 📡 공공 와이파이 위치
- 🎭 공연/전시 일정 및 장소 정보
- 🏞️ 공원, 체육시설, 산책로 위치
이러한 데이터는 지도 시각화, 교통분석, 상권 입지 전략 등 다양한 목적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실무에 유용한 위치 기반 API 예시
분야API 명설명
대중교통 버스도착예정정보 조회 서비스 정류장별 실시간 도착 시간 교통량 분석 도로별 통행량 정보 날짜/시간대별 교통량 추이 시설 분석 공공와이파이 위치 API 위치 기반 서비스 기획에 적합 시민문화 문화행사 정보 조회 행사명, 일시, 장소 포함 모든 API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에서 활용 신청 후 인증키 발급 필요
🧪 Python 실전 예제: 서울시 공공 와이파이 위치 수집
API 예시: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위치정보 API
1. API 정보 요약
- 응답 포맷: XML 또는 JSON
- 주요 필드: 설치장소명, 위도(Y), 경도(X), 서비스구분, 설치시도명 등
2. Python 수집 코드
import requests import pandas as pd import xml.etree.ElementTree as ET API_KEY = "YOUR_API_KEY" url = f"http://openapi.seoul.go.kr:8088/{API_KEY}/xml/PublicWifiInfo/1/1000" response = requests.get(url) root = ET.fromstring(response.content) records = [] for row in root.iter("row"): name = row.findtext("INSTL_DIV") # 서비스구분 x = row.findtext("X_SWIFI_X") y = row.findtext("X_SWIFI_Y") place = row.findtext("INSTL_PLACE") records.append((name, place, x, y)) df = pd.DataFrame(records, columns=["서비스구분", "장소", "경도", "위도"]) print(df.head())
3. 지도 시각화 예시 (folium 활용)
import folium m = folium.Map(location=[37.5665, 126.9780], zoom_start=12) for _, row in df.iterrows(): folium.Marker( [float(row["위도"]), float(row["경도"])], popup=row["장소"] ).add_to(m) m.save("wifi_map.html")
📌 지도 시각화를 통해 공공 와이파이 설치 밀도, 취약지역 파악, 디지털 소외지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추가 분석 아이디어
- 지하철 역사 혼잡도 API + 시간대별 분석 → 출근/퇴근 시간대 혼잡 예측
- 실시간 버스 위치 데이터 + 출발/도착지 지정 → 예상 도착시간 계산 알고리즘 개발
- 공공시설 위치 + 인구 통계 → 복지 사각지대 지도화
🚧 실무 활용 시 주의사항
항목설명
인증키 서울열린데이터광장 가입 후 API 별로 개별 발급 필요 호출량 제한 보통 일일 1000건~5000건, 연장 신청 가능 갱신주기 일부 데이터는 1시간 단위, 일부는 1일 1회 업데이트 위치 정밀도 WGS84 기준 위경도 사용. 지도 연계 시 호환 체크 필요
정리
-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은 위치 기반 공공 데이터의 중심지
- 실시간 대중교통, 와이파이, 문화행사 등 생활밀착형 API가 강점
- Python + 지도 시각화 툴로 공간 분석 및 인사이트 보고서 제작 가능
다음 회차 예고 – 기상청 기후데이터 API로 시계열 분석하기
4화에서는 **기상청 기후데이터포털(data.kma.go.kr)**의 초단기 예보, 과거 기온/강수량 정보를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 및 날씨 기반 예측 모델을 구성하는 실전 전략을 안내드립니다.
728x90'기술과 산업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NiFi 시리즈 2회 - Apache NiFi 설치 및 환경 구성 가이드 (1) 2025.05.07 Apache NiFi 시리즈 1회 - Apache NiFi란 무엇인가 (0) 2025.05.07 데이터 수집과 EDA 전략 시리즈 – 3화. 결측치와 이상치 탐지 전략: 데이터의 허점을 읽어내는 기술 (1) 2025.05.07 AI/ML 기반 데이터 분석 시리즈 6화 - 피처 엔지니어링과 스케일링 전략: 데이터의 본질을 꿰뚫는 변환 기법 (0) 2025.05.07 AI 모델 만들기 시리즈 6화 – Scikit-learn으로 첫 번째 분류 모델 만들기 (1)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