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ML 기반 데이터 분석 시리즈 7화 - 분류(Classification) 모델의 구조와 실전 구현 전략기술과 산업/AI 2025. 5. 9. 15:00728x90
분류(Classification)는 머신러닝 문제 중 가장 실무 활용도가 높은 분야입니다.
스팸메일 탐지, 질병 진단, 고객 이탈 예측, 금융 신용평가, 이미지 판별 등 대부분의 의사결정 문제는 결국 ‘분류’ 문제로 환원됩니다.이번 글에서는 분류 문제의 정의, 핵심 모델, 평가 방식, 실전 코드 흐름까지 상세하게 정리합니다.
1. 분류 문제란 무엇인가?
분류(Classification)는 입력된 특성(feature)을 기반으로 정해진 클래스(범주, label) 중 하나에 속하는지를 예측하는 문제입니다.
예시:
입력 데이터 타겟 클래스
고객 나이, 사용 시간, 결제 수단 구매 여부 (0 or 1) 리뷰 내용, 단어 빈도 긍정/부정 이메일 본문 스팸 / 정상
2. 분류 문제의 유형
유형 설명 예시
이진 분류 (Binary) 클래스가 2개 스팸 vs 정상, 질병 있음/없음 다중 분류 (Multiclass) 클래스가 3개 이상 숫자 인식(0~9), 제품 카테고리 다중 라벨 (Multilabel) 여러 라벨을 동시에 예측 이미지에 여러 객체 존재 여부
3. 대표 분류 모델 개요
알고리즘 특징 장점 단점
로지스틱 회귀 선형 결정 경계 해석 용이, 빠름 비선형에 약함 결정 트리 (Decision Tree) 조건 분기 방식 직관적, 시각화 쉬움 과적합 위험 랜덤포레스트 다수의 트리 앙상블 높은 성능, 범용성 느림, 해석 어려움 XGBoost / LightGBM 부스팅 기반 강력한 모델 정확도 우수 튜닝 필요 KNN 거리 기반 단순, 비모수 계산량 큼 SVM 경계 최적화 고차원에 강함 느리고 민감함 신경망 비선형 학습 복잡한 문제 대응 학습/튜닝 비용 ↑
4. 분류 모델 실전 구현 (Scikit-learn 기반)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from sklearn.metrics import classification_report, confusion_matrix # 데이터 분할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 y, test_size=0.2, stratify=y) # 모델 학습 clf = RandomForestClassifier(n_estimators=100, max_depth=5) clf.fit(X_train, y_train) # 예측 y_pred = clf.predict(X_test) # 평가 print(classification_report(y_test, y_pred))
5. 분류 모델 평가 지표
지표 의미 언제 중요?
Accuracy 전체 정확도 클래스 불균형 없을 때 Precision 예측한 것 중 실제 정답 비율 False Positive 중요할 때 Recall 실제 정답 중 예측 성공 비율 False Negative가 위험할 때 F1-score Precision과 Recall의 조화 평균 균형 평가 필요할 때 AUC-ROC 분류기 판별력 시각화 전체 성능 추세 분석 시 예: 암 진단, 사기 탐지 → Recall 중요
예: 광고 클릭 예측 → Precision 중요
6. 분류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 전략
- Decision Tree: max_depth, min_samples_split
- Random Forest: n_estimators, max_features
- XGBoost: learning_rate, max_depth, gamma, subsample
- SVM: C, kernel, gamma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GridSearchCV param_grid = { 'max_depth': [3, 5, 7], 'n_estimators': [100, 200] } grid = GridSearchCV(RandomForestClassifier(), param_grid, cv=5) grid.fit(X_train, y_train)
7. 분류 모델 실전 적용 팁
- 클래스 불균형 → class_weight='balanced', SMOTE 활용
- 범주형 변수 처리 → OneHotEncoding 또는 Target Encoding
- 피처 중요도 시각화 → feature_importances_ 속성 활용
- 컬럼 수 많을 때 → SelectKBest, PCA 등으로 차원 축소
분류는 ‘결정 경계’를 이해하는 싸움이다
분류 모델은 단순히 0 또는 1을 예측하는 것이 아닙니다.
데이터의 공간에서 어디에 경계선을 그릴지 결정하는 과정이며,
그 경계는 전처리, 피처 엔지니어링, 모델 선택 모두의 영향을 받습니다.다음 8화에서는 이러한 분류 모델을 넘어
회귀(Regression) 모델의 구조와 실전 예측 문제 대응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728x90'기술과 산업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야별 데이터 수집 전략 가이드 시리즈 - 4화. 기상청 API로 날씨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계열 분석에 활용하는 전략 (1) 2025.05.09 데이터 수집과 EDA 전략 시리즈 – 4화. 변수의 유형과 분석 전략: 수치형과 범주형, 처리 방식이 다르다 (0) 2025.05.09 AI 모델 만들기 시리즈 7화 – 모델을 더 똑똑하게: 하이퍼파라미터 튜닝과 교차검증 실습 (0) 2025.05.09 Whisper 시리즈 12화 – Whisper와 GPT로 만드는 자동 회의록 생성 시스템 (0) 2025.05.09 Apache NiFi 시리즈 2회 - Apache NiFi 설치 및 환경 구성 가이드 (1)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