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ovFrame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5화 – Gradle + Spring Boot 전환 전략: 표준프레임워크의 현대화 실전 사례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22. 13:25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기반 프로젝트를 Gradle과 Spring Boot 기반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기존 구조를 어떻게 유지하면서 모던 빌드 환경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실무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1. 왜 Gradle과 Spring Boot 전환을 고민하게 되는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수년간 Maven과 XML 설정 중심의 개발 환경을 유지해왔습니다.그러나 최근 들어 실무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Gradle과 Spring Boot로의 전환 요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요구 이유설명빌드 속도 개선Gradle의 병렬 빌드, 캐싱 기능 덕분에 빌드 시간 대폭 단축Spring Boot의 설정 단순화XML → Java 기반 Config 전환으로 유지보수성 향상현대적 DevOps 연계Docker, GitHu..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4화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의 통합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16. 18:12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eGovFrame)는 오랜 시간 동안 공공정보시스템 개발의 기준으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공공 IT 시스템도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민간 시스템에서 활용되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의 도입이 공공영역에서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GovFrame 환경에서 MSA를 어떻게 통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략적 이점은 무엇인지 분석해보겠습니다. eGovFrame의 기존 한계와 MSA로의 진화 필요성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모놀리식 구조(monolithic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구조는 초기 도입 시에는 빠른..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3화 - 공통컴포넌트의 이해와 확장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11. 20:27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eGovFrame)는 단순한 템플릿 수준을 넘어, 현업 시스템 개발에서의 효율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공통컴포넌트(Common Component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화에서는 공통컴포넌트의 구조, 종류, 실제 활용 방식, 그리고 현업에서 어떻게 확장해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공통컴포넌트란 무엇인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 공통컴포넌트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재사용 가능하게 설계한 범용 모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파일 업로드, 메일 전송, 게시판, 일정관리, 코드 관리 등은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유사한 형태로 반복됩니다. 이러한 기능을 매번 새로 개발할 필요 없이 재사용하도록 만든 것이 바로 공통컴포..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2화 – 배치 모듈의 구조와 활용 전략: Quartz 기반 스케줄링 시스템 이해하기카테고리 없음 2025. 6. 9. 19:34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배치 모듈 구조와 Quartz 스케줄링 프레임워크의 연계 방식, 배치 개발 및 운영 관리 전략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1. 공공 프로젝트에서 배치는 왜 중요한가?전자정부 시스템에서 배치 처리란, 다음과 같은 시간 기반 반복 작업 또는 비동기 대용량 처리 로직을 의미합니다:매일 자정에 통계 데이터 집계주간 보고서 자동 생성 및 메일 발송대용량 민원 신청 데이터 정리외부 기관과의 파일 기반 연계공공 시스템은 실시간 처리보다 정해진 시간에 자동 처리되는 업무 비율이 더 높습니다.따라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도 Quartz 기반 배치 모듈을 통해 표준화된 배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2. eGovFrame의 배치 시스템 아키텍처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 배치 처리는 다음과 ..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1화 – 공통 코드 관리 기능 완벽 정리: 코드 테이블, 조회 서비스, 화면 연동까지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8. 15:22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 공통 코드 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해 코드 테이블 설계, Service/DAO 구현, 화면 연동 방식까지 전 과정을 실무 중심으로 설명합니다.1. 왜 공통 코드 시스템이 중요한가?공공 정보 시스템에서 "공통 코드"란 다음을 의미합니다:선택 항목(콤보박스)의 값 목록상태값, 구분자, 유형 값 등 정형화된 분류다국어 연동 및 유지보수 시 공통 관리 대상예를 들어,성별 코드: M, F → ‘남성’, ‘여성’민원 유형 코드: A01, B02 → ‘주민등록’, ‘출입국’업무 상태 코드: 00, 01, 99 → ‘작성 중’, ‘제출’, ‘반려’이러한 값들을 하드코딩하지 않고 중앙 집중형 코드 테이블로 관리하는 것이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본 전략입니다.2. 전자정부 프레..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0화 – 파일 업로드와 다운로드 처리 구조 분석: EgovFileMngService의 내부 작동 방식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6. 10:56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기능을 담당하는 EgovFileMngService의 구조와 작동 방식, 실무 적용 전략, 보안 대응 방안까지 정리합니다. 공공 프로젝트의 필수 기능을 이해하고 확장하는 데 필요한 실전 가이드입니다. 1. 공공 시스템에서 ‘첨부파일 기능’은 기본이자 필수전자정부 기반 시스템은 대부분 아래와 같은 기능을 포함합니다.민원 신청서 첨부파일 등록증빙자료 다운로드행정서류, 이미지, 음성파일 업로드파일 업로드 기능은 단순해 보이지만,보안, 용량, 파일명 관리, 저장 경로, 이력 관리까지 포함한 민감 기능입니다.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이 기능을 EgovFileMngService를 중심으로 표준화해 제공합니다.2. 전체 흐름 구조전자정부 파일 처리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계..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9화 – 메시지 처리와 다국어 지원 기능 완벽 가이드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1. 19:47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 메시지 처리 및 다국어 지원 기능의 구조와 설정 방법, 실무에서의 확장 전략을 정리합니다. message.properties 기반 설계, 에러 메시지 관리, 사용자 알림 일원화까지 실전 대응 전략을 제공합니다. 1. 공공 시스템에서 다국어 처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전자정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자주 직면합니다.외국인 사용자 대상 공공 서비스 (예: 외국인 민원 포털)다국어 환경을 지원하는 글로벌 기관용 시스템 (예: KOTRA, KOICA 등)통일된 에러/알림 메시지 관리가 필요한 복수 기관 시스템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message.properties 기반 다국어 메시지 처리 구조입니다.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Spring의 메시지 처리 방식을 기반으로,표준화된 메시지 ..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8화 – 로그인 인증 흐름 분석: Session, Interceptor, Spring Security 적용까지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3. 16:22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 로그인 및 인증 구조가 어떻게 설계되어 있는지, Session 기반 인증과 Interceptor의 역할, 그리고 실무에서 Spring Security로 확장하는 방법까지 실전 관점에서 분석합니다.1. 로그인 인증 기능은 공공 SI 프로젝트의 핵심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기반 프로젝트에서 로그인/인증 기능은 핵심 중의 핵심입니다.감리 대응 시 반드시 아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비인가 사용자 접근 차단세션 탈취, 세션 고정 공격 방지사용자 ID, 로그인 이력 로깅세션 만료 후 재로그인 처리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Session + Interceptor 구조를 권장하고 있으며,최근 실무에서는 Spring Security를 통한 확장 적용이 일반적입니다.2. 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