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시리즈
-
Spring Boot 시리즈 36편 – Elasticsearch 연동: 검색 기능 확장을 위한 인덱싱, 매핑, 쿼리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6. 10:49
Spring Boot에서 Elasticsearch를 연동하여 검색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인덱스 설계, 매핑 구조, 쿼리 작성, 운영 적용 전략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검색 시스템 구축 가이드입니다. 전통적인 RDB 기반 LIKE 검색은 유연성과 성능에 한계가 있습니다.특히 전체 텍스트 검색이나 복합 조건 검색이 필요한 경우Elasticsearch를 연동한 검색 전용 아키텍처가 필요한 이유입니다.Spring Boot와 Elasticsearch를 연동하면도메인 객체를 기반으로 간결하게 인덱싱하고다양한 검색 쿼리를 조합할 수 있으며확장성과 응답 속도를 동시에 만족하는 검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1. Elasticsearch 기본 개념 정리개념 설명IndexDB의 테이블과 유사, 검색 단..
-
Spring Boot 시리즈 35편 – Spring Cloud Config: 설정 중앙화 전략과 운영환경 속 안전한 구성관리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3. 13:13
Spring Boot에서 Spring Cloud Config를 활용해 설정파일을 중앙화하는 전략을 설명합니다. Git 기반 구성, 마이크로서비스 적용, 환경 분리, 보안 설정 관리까지 실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에서는 서비스 개수가 많아지면서 설정 파일도 함께 늘어납니다.각 서비스마다 application.yml을 따로 관리하다 보면,운영 환경 변경이나 보안 설정 반영이 일관되지 않거나 누락되기 쉽습니다. Spring Cloud Config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중앙에서 설정을 관리하고 서비스가 이를 동적으로 불러오도록 지원합니다. 1. Spring Cloud Config란?개념설명Config Server설정 정보를 Git 등에서 읽어와 각 서비스에 전달하는 중앙..
-
Spring Boot 시리즈 34편 – Eureka와 서비스 디스커버리 구조: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의 자동 인스턴스 탐색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1. 12:04
Spring Cloud의 Eureka를 활용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구조를 설명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인스턴스 등록과 탐색, 자동 라우팅, 헬스체크 설정 등 운영 기준의 구성 전략을 다룹니다.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는 서비스가 고정된 IP나 포트를 가지지 않습니다.동적으로 배포되고, 스케일 아웃 되며, 서버가 재시작될 수도 있습니다.이처럼 동적으로 변하는 서비스 주소를 일일이 관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 서비스 디스커버리입니다.Spring Cloud의 Eureka는 넷플릭스 OSS 생태계에서 시작된 대표적인 서비스 레지스트리이자 디스커버리 서버입니다.1. 서비스 디스커버리란?개념 설명Service Registry서비스 인스턴스가 자신의 위치(IP, port 등)..
-
Spring Boot 시리즈 33편 – Spring Cloud Gateway: API 게이트웨이 설계와 트래픽 라우팅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0. 12:46
Spring Cloud Gateway를 활용한 API Gateway 설계와 트래픽 라우팅 전략을 정리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에서 게이트웨이의 역할, 필터 구성, 라우팅, 인증 및 보안 적용까지 실무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에서 사용자 요청이 각 서비스를 직접 호출하도록 설계하면서비스의 수가 늘어날수록 복잡도와 보안 리스크가 증가합니다.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요소가 바로 API Gateway입니다.Spring Cloud Gateway는 Netflix Zuul의 뒤를 이어,Spring 생태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비동기 논블로킹 기반의 API Gateway 프레임워크입니다.1. Spring Cloud Gateway란?항목 설명목적사용자 요청을 여러 내부 서비스로 라우팅하고, 공통 정책..
-
Spring Boot 시리즈 32편 – OpenFeign을 활용한 외부 API 연동 아키텍처 설계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9. 16:24
Spring Boot에서 OpenFeign을 활용해 외부 API를 연동하는 아키텍처 설계 방법을 설명합니다. 선언적 HTTP 클라이언트 구현, 예외 처리, 로깅, 운영 적용 팁까지 실전 예제로 구성했습니다. Spring Boot에서 외부 API를 호출할 때,기존에는 RestTemplate이나 WebClient를 사용해 직접 요청/응답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하지만 복잡한 API 연동이 많아질수록 코드가 중복되고,가독성·테스트성·재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깁니다.이때 가장 실용적인 대안 중 하나가 바로 OpenFeign입니다.OpenFeign은 HTTP 클라이언트를 인터페이스 선언만으로 자동 생성해주는 도구로,Netflix OSS 생태계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Spring Cloud 공식 지..
-
Spring Boot 시리즈 31편 – Spring Scheduler: 정기 작업 자동화 및 서비스 운영 효율화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9. 16:20
Spring Boot에서 Scheduler를 활용한 정기 작업 자동화 방법을 설명합니다. 단순 스케줄링부터 병렬 실행, 조건 기반 트리거, 운영 환경에서의 안정적 실행 전략까지 정리했습니다. 정기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백그라운드 작업은 어떤 서비스든 반드시 존재합니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입니다.매일 오전 3시에 정산 데이터를 집계5분마다 API 연동 데이터를 동기화매시 정각에 캐시를 갱신하거나 DB 정리 작업 실행Spring Boot는 @Scheduled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정기 작업 실행 기능을 제공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스케줄링 기본 개념부터, 운영환경에서 주의해야 할 병렬 실행 문제, 예외 대응까지 실전 예시로 정리합니다.1. 스케줄링 기본 설정Spring Boot는 ..
-
Spring Boot 시리즈 30편 – Spring Batch: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배치 시스템 설계 실전 가이드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3. 16:34
Spring Boot에서 Spring Batch를 활용해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배치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tep, Job, Reader, Processor, Writer의 기본 개념과 실전 예시 포함.Spring Boot 시리즈 30편 – Spring Batch: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배치 시스템 설계 실전 가이드많은 서비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 요구가 발생합니다.매일 회원 데이터 분석거래 내역 일괄 업데이트외부 시스템으로 데이터 전송이러한 요구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해결하는 대표적인 프레임워크가 Spring Batch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 Batch의 핵심 개념과 실무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정리합니다.1. Spring Batch의 핵심 아키텍처..
-
Spring Boot 시리즈 29편 – RestTemplate vs WebClient: 외부 API 통신 전략 비교와 적용 가이드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2. 16:26
Spring Boot에서 외부 API를 호출할 때 RestTemplate과 WebClient를 어떻게 선택하고 구현해야 하는지 비교 설명합니다. 실무 기준의 사용 가이드와 적용 예시를 포함합니다.Spring Boot 시리즈 29편 – RestTemplate vs WebClient: 외부 API 통신 전략 비교와 적용 가이드대부분의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는다른 서버의 REST API 호출외부 시스템과의 연동마이크로서비스 간 데이터 교환등 외부 API 호출이 필수적으로 발생합니다.Spring Boot에서는 크게 RestTemplate과 WebClient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방식을 비교 → 장단점 분석 → 실전 코드 예시 순서로 정리합니다.📌 1. RestTemplate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