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ML 기반 데이터 분석 시리즈 10화 -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전략과 실전 최적화 기법기술과 산업/AI 2025. 5. 23. 17:07728x90
아무리 뛰어난 머신러닝 모델도 하이퍼파라미터가 적절하지 않으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은 단순한 숫자 조정이 아니라, 모델의 학습 구조와 일반화 능력을 조율하는 고도의 설계 행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의 개념부터 그리드서치, 랜덤서치, 베이지안 최적화(Optuna)까지 실무에서 유용한 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1. 하이퍼파라미터란 무엇인가?
모델 내부적으로 자동 학습되는 파라미터가 아닌,
모델이 학습되기 전에 사람이 지정해야 하는 설정값을 말합니다.
예시
모델주요 하이퍼파라미터
RandomForest n_estimators, max_depth, min_samples_split XGBoost learning_rate, max_depth, subsample, gamma SVM C, kernel, gamma KNN n_neighbors, weights, metric
2.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전략
2.1 그리드 서치 (Grid Search)
- 모든 조합을 탐색
- 장점: 가장 단순하고 직관적
- 단점: 조합 수가 많아질수록 속도 저하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GridSearchCV param_grid = { 'n_estimators': [100, 200], 'max_depth': [3, 5, 7] } grid = GridSearchCV(RandomForestClassifier(), param_grid, cv=5) grid.fit(X_train, y_train)2.2 랜덤 서치 (Random Search)
- 일부 조합만 무작위로 탐색
- 효율적이고 빠르며, 높은 성능 가능성 ↑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RandomizedSearchCV param_dist = { 'n_estimators': [50, 100, 200], 'max_depth': [3, 5, 7, 9] } random = RandomizedSearchCV(RandomForestClassifier(), param_distributions=param_dist, n_iter=10) random.fit(X_train, y_train)
3. 고급 튜닝 – Optuna를 활용한 베이지안 최적화
Optuna는 탐색 공간에서 유망한 조합을 동적으로 학습하면서 탐색을 수행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속도와 성능 모두 뛰어나며, 최근 Kaggle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3.1 기본 구조
import optuna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cross_val_score def objective(trial): max_depth = trial.suggest_int("max_depth", 3, 10) n_estimators = trial.suggest_int("n_estimators", 50, 200) clf = RandomForestClassifier(max_depth=max_depth, n_estimators=n_estimators) score = cross_val_score(clf, X, y, cv=5).mean() return score study = optuna.create_study(direction="maximize") study.optimize(objective, n_trials=30)
4. 튜닝 시 고려해야 할 5가지 원칙
- 데이터 크기 고려: 작은 데이터엔 복잡한 튜닝이 오히려 과적합 유발
- CV 스킴 선택: StratifiedKFold로 클래스 비율 유지
- 성능 지표 명확화: Accuracy, F1-score, AUC 등 목적별 최적화
- 튜닝 범위 설정: 너무 넓으면 시간 낭비, 너무 좁으면 탐색 제한
- 재현성 확보: random_state 고정, scoring 명시
5. 실전 모델별 튜닝 팁 요약
모델필수 튜닝 포인트
RandomForest n_estimators, max_depth, min_samples_split XGBoost learning_rate, n_estimators, max_depth, gamma LightGBM num_leaves, feature_fraction, min_child_samples SVM C, gamma, kernel KNN n_neighbors, weights NeuralNet hidden_layer_sizes, activation, batch_size, epochs
튜닝은 모델을 ‘지휘’하는 예술이다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은 반복적이고 복잡하지만,
모델을 일반화 가능한 상태로 정제하는 과정이자, 데이터 해석의 마지막 관문입니다.
경험이 쌓일수록 불필요한 탐색을 줄이고,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감각이 생깁니다.
다음 11화에서는 다양한 분류/회귀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고
종합 평가하고 선택하는 기준 – 모델 비교 전략과 해석 기법을 다룹니다.
728x90'기술과 산업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dio 실전 시리즈 9화 – Hugging Face Spaces로 Gradio 앱 배포하기 (0) 2025.05.26 LangChain + RAG 기반 문서 Q&A 챗봇 시리즈 4화 - 문서 처리의 시작(문서를 불러오고, 쪼개고, 벡터로 바꾸기) (0) 2025.05.26 LLM 학습 시리즈 3화 – 인간다운 AI를 만드는 마지막 퍼즐: RLHF 완전 이해 (1) 2025.05.23 LLM 학습 시리즈 2화 – LLM을 똑똑하게 만드는 법: 감독학습(SFT)과 그 한계 (0) 2025.05.23 LLM 학습 시리즈 1화 – LLM 학습의 시작: 사전학습(Pretraining)이란 무엇인가? (5)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