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SA 모델 비교표기술과 산업/도메인 2025. 5. 28. 20:11728x90
다음은 MESA에서 제안한 주요 모델들을 기능, 목적, 중심 개념, 도입 시기, 적용 범위, 특징 등을 기준으로 정리한 비교표입니다.
모델명 도입 시기 중심 개념 주요 목적 핵심 구성 요소 적용 범위 특징
MESA-11 모델 1996 MES 11가지 핵심 기능 MES의 기능 정의 및 구조화 생산, 품질, 자원, 추적, 유지보수 등 11기능 공장 내 운영 중심 최초의 표준화된 MES 모델, 기능 기반 접근 C-MES 모델 2004 협업 중심 MES(Collaborative MES) 기업 시스템과 MES 통합, 협업 확대 비즈니스와 운영 간 상호작용 강조 엔터프라이즈 레벨까지 확장 공급망 최적화, 경쟁력 확보 등 이슈 반영 전략적 이니셔티브 모델 2008 전략 ↔ 실행 연결 전략 목표와 운영 결과 연결 전략 → 비즈니스 운영 → 공장 운영 → 생산 흐름 기업 전체 ROI, 린 제조, 규제 대응 등 7개 전략 주제 포함 스마트 제조 모델 2022 디지털 전환 + 라이프사이클 기반 운영 스마트 제조 구현을 위한 참조 프레임워크 ① 라이프사이클② 크로스-라이프사이클 스레드③ 지원 기술군 전체 가치 사슬 IIoT, AI, DT, 지속가능성 등 최신 기술 완전 반영
📝 간단 요약
- MESA-11 모델은 MES의 기능적 기초를 정의하는 "클래식 표준".
- C-MES 모델은 MES와 기업 전체의 연결성을 강조하며, 공장 단위에서 기업 단위로 확장된 프레임워크.
- 전략적 이니셔티브 모델은 전략-운영 간 피드백 루프를 설명하며, KPI와 ROI 측정, Lean/Compliance 등 실제 경영 의사결정 지원에 초점.
- 스마트 제조 모델은 최신 기술과 디지털 스레드를 반영한 가장 최신의 통합 프레임워크로, 스마트팩토리 구현의 기반이 되는 레퍼런스 모델입니다.
728x90'기술과 산업 > 도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7화 – 스마트 제조 KPI 설계 전략 (OEE, Takt Time, PPM 등) (0) 2025.06.02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6화 – 제조 데이터의 구조화 전략과 분석 설계 포인트 (1) 2025.05.30 MESA 모델 정리 (0) 2025.05.28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5화 – 스마트팩토리 단계별 구현 전략과 흐름 설계 가이드 (2) 2025.05.28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4화 – 제조 유형별 MES 설계 전략 (연속/배치/이산) (1) 202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