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QRS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시리즈 14화 – 이벤트 기반 시스템의 데이터 일관성 문제와 해결 전략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5. 7. 29. 09:44
이벤트 기반 시스템은 유연성과 확장성은 높지만, 데이터 일관성 문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벤트 처리에서 발생하는 일관성 이슈의 원인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실전 설계 전략을 집중 분석합니다. 왜 이벤트 기반 시스템은 ‘일관성 문제’를 안고 있는가? 이벤트 기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비스 간 강한 결합 제거비동기 메시지 전달을 통한 확장성과 탄력성 확보CQRS + 이벤트 소싱 기반의 독립적인 읽기/쓰기 구조 그러나 이 구조는 근본적으로 **즉시 일관성(Strong Consistency)**이 아닌,**최종적 일관성(Eventual Consistency)**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 간 불일치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일관성 문제 사례 ..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시리즈 13화 – CQRS 아키텍처의 실전 설계 전략: 분리를 넘어 책임의 정렬로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5. 7. 18. 12:26
CQRS는 단순히 읽기와 쓰기를 나누는 패턴이 아닙니다. 올바른 책임 분리를 통해 복잡한 시스템을 정리하고, 확장성과 유지보수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적 전략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전 아키텍처에 CQRS를 도입할 때의 설계 방식과 고려사항을 자세히 다룹니다. CQRS는 왜 생겨났는가? 전통적인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모델이 단일하게 사용되며, 같은 레이어에서 읽기와 쓰기를 모두 처리합니다. 하지만 복잡한 도메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읽기/쓰기 요구사항이 전혀 다름 예: 관리자 페이지는 복잡한 통계 기반 조회, 주문 처리 로직은 트랜잭션 중심 성능 최적화 방향이 다름 읽기는 캐싱, 인덱스 설계가 중요하고 쓰기는 무결성과 트랜잭션 관리가 핵심 ..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시리즈 12화 – 이벤트 소싱의 개념과 도입 시 고려사항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5. 6. 27. 13:02
도메인 주도 설계 이후,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로 확장 지난 회차에서 도메인 주도 설계(DDD)를 중심으로 도메인 로직을 어떻게 구조화할 수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그 연장선에서, 최근 아키텍처 설계 시 자주 등장하는 이벤트 소싱(Event Sourcing) 개념과 이를 도입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실무 포인트를 살펴보려 합니다. 이벤트 소싱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 방식’이 아닙니다. 도메인의 상태를 ‘이벤트의 흐름’으로 저장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며, 복잡한 업무 로직이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특히 큰 장점을 가집니다. 이벤트 소싱이란? 이벤트 소싱은 기존의 CRUD 모델처럼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상태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상태 변화를 이벤트 단위로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즉, 도메인..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시리즈 10화 – CQRS와 이벤트 소싱: 복잡성을 다루는 아키텍처 전략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5. 6. 9. 19:22
CQRS와 이벤트 소싱은 복잡한 도메인 로직과 데이터 변경 이력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패턴의 개념, 설계 이유, 적용 시 주의점까지 실무 중심으로 풀어봅니다.CQRS란 무엇인가?CQRS는 Command와 Query를 분리하자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Command: 데이터를 변경하는 요청 (예: 주문 생성, 비밀번호 변경)Query: 데이터를 조회하는 요청 (예: 주문 목록 보기, 사용자 상태 확인)전통적인 CRUD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모델(예: OrderService, OrderRepository)이 읽기와 쓰기를 모두 처리합니다.하지만 CQRS는 이 책임을 분리하여 더 명확하고 독립적으로 설계하자는 철학을 가집니다.왜 분리하는가? CQRS의 목적복잡한 쓰기 로직을 단순화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