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시리즈 14화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의 통합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16. 18:12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eGovFrame)는 오랜 시간 동안 공공정보시스템 개발의 기준으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공공 IT 시스템도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민간 시스템에서 활용되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의 도입이 공공영역에서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GovFrame 환경에서 MSA를 어떻게 통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략적 이점은 무엇인지 분석해보겠습니다. eGovFrame의 기존 한계와 MSA로의 진화 필요성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모놀리식 구조(monolithic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구조는 초기 도입 시에는 빠른..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1화 – Spring Boot의 아키텍처 재조명: 왜 우리는 Spring Boot를 선택하는가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30. 11:09
Spring Boot는 이제 단순한 Java 웹 프레임워크를 넘어,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만큼 광범위하게 확장되어 왔습니다. 개발자들은 빠른 개발, 간편한 배포, 강력한 생태계라는 이유로 Spring Boot를 선택하지만, 그 이면에는 잘 설계된 아키텍처적 기반과 의존성 추상화, 그리고 운영까지 고려한 실행 구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Boot의 구조를 기능적 구성 요소가 아니라, 그 철학과 아키텍처적 전략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겠습니다. Spring Boot는 왜 만들어졌는가? 기존의 Spring Framework는 유연하고 강력하지만, 프로젝트 초기 설정과 XML 기반 구성의 복잡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Convention over Co..
-
Spring Boot 시리즈 40편 – 실무에서의 Spring Boot CI/CD 구축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30. 11:05
Spring Boot 프로젝트의 실제 운영 환경에 적용 가능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전략을 정리합니다. GitHub Actions, Jenkins, Docker, AWS 기반의 배포 자동화 사례까지 포함하여 실무 적용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Spring Boot로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운영 환경에 안정적으로 배포하기 위해서는 개발 완료 후 ‘버튼 한 번’으로 배포가 끝나는 CI/CD 환경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 프로젝트에 특화된 CI/CD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실무에서의 DevOps 흐름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왜 Spring Boot에 CI/CD가 중요한가? Spring Boot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빠르게 개발하여 빠르게 검증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
-
JHipster 시리즈 6화 - JHipster 프로젝트 구조와 코드 흐름 분석하기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5. 19:35
JHipster로 생성된 Spring Boot + React 기반 프로젝트의 전체 디렉토리 구조, 주요 모듈, 코드 흐름을 실무 수준에서 상세하게 해부합니다. 실전 개발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구조 가이드. 왜 프로젝트 구조를 이해해야 하는가? JHipster는 단순 템플릿이 아닙니다.자동으로 구성되는 백엔드 + 프론트엔드 + DevOps + 보안을 포함하는 완성형 프로젝트입니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고 팀이 늘어나면 구조를 이해하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역량이 핵심 경쟁력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 관점에서 JHipster 프로젝트의 전체 구조와 코드 흐름을 상세하게 분석합니다. JHipster 전체 구조 (Monolith 기준)├── src/│ ├── main/│ │ ├── j..
-
2023년의 DevOps 로드맵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3. 1. 29. 15:06
2023년의 DevOps 로드맵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영역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1.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및 자동화: 점점 더 많은 기업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클라우드로 이동함에 따라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및 자동화 도구의 사용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여기에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Kubernetes와 같은 기술과 코드형 인프라를 위한 Terraform 및 Ansible과 같은 도구가 포함됩니다. 2. CI/CD(지속적인 통합 및 전달): CI/CD 방식은 DevOps에서 지속적으로 핵심 초점이 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팀은 새로운 기능과 업데이트를 고객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릴리스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코드 빌드 및 배포를 위한 Jenkins, Travis 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