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
NestJS 마스터 시리즈 8화.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RxJS – NestJS의 Reactive 구조를 이해하라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 09:47
"Promise로는 충분하지 않다. NestJS가 RxJS를 기본으로 채택한 이유"NestJS에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Promise와 RxJS Observable의 차이, Reactive Stream 기반 설계 철학을 실전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비동기 처리, 그 이상이 필요한 순간Node.js는 기본적으로 비동기 이벤트 루프 위에서 동작한다. 하지만 복잡한 백엔드 로직에서는 단순한 Promise로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NestJS는 이런 구조적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RxJS 기반의 비동기 흐름 처리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다.NestJS는 내부적으로 모든 비동기 처리를 Observable 기반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Promise vs Observable – 무엇이 다..
-
NestJS 마스터 시리즈 7화. ConfigModule과 환경 설정 – .env 관리와 설정 계층 구조의 원칙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 13:11
"설정은 분산되고 계층화되어야 한다. 관리되지 않는 설정은 기술 부채다"NestJS에서 ConfigModule을 활용한 환경 설정 관리 방법을 설명합니다. .env 파일 사용, 설정 계층 설계, 타입 안전성 확보, 환경별 분리 전략까지 실무 중심으로 구성합니다.설정은 코드다 – 환경 설정을 코드로 관리하자많은 Node.js 프로젝트들이 .env만 두고 끝낸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설정의 계층화, 타입 안전성, 환경별 분리 없이는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NestJS는 @nestjs/config 모듈을 통해 설정을 코드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설정 접근 방식의 일관성 유지환경 변수 누락, 오타 방지테스트 환경 분리와 유연한 설정 오버라이딩설치 및 기본 설정..
-
NestJS 마스터 시리즈 5화. 서비스와 의존성 주입(DI) – 로직의 핵심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4. 28. 16:54
"비즈니스 로직은 서비스에, API는 컨트롤러에. 이 원칙이 실무의 기본이다"NestJS 서비스(Service) 구조와 의존성 주입(DI)의 원리를 실전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 서비스 분리 전략, 테스트 가능성, DI 컨테이너 관리까지 실무 중심으로 분석합니다.서비스(Service)란 무엇인가NestJS에서 서비스는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계층이다.컨트롤러는 요청과 응답만 처리하고, 실제 계산, 데이터 처리, 외부 통신 등 핵심 로직은 모두 서비스에 위치해야 한다.NestJS는 Angular 스타일의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시스템을 내장하여,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추고 확장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극대화했다."컨트롤러는 얇게, 서비스는 두껍게"이것이 좋은 백엔드 설계의 기본이다..
-
NestJS 마스터 시리즈 4화. 컨트롤러와 라우팅 – REST API를 구조화하는 방법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4. 26. 20:30
“그냥 GET, POST만 쓰면 된다고? 실무는 다릅니다” NestJS에서 컨트롤러와 라우팅의 구조를 실전 예제로 설명합니다. HTTP 요청 처리, REST API 설계, 데코레이터 기반 라우팅, 그리고 컨트롤러 분리 전략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컨트롤러는 API 입구다 NestJS에서 @Controller()는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을 받아들이는 입구 역할을 합니다.Express의 라우터 개념과 유사하지만, 데코레이터 기반으로 더 구조화된 형태를 가집니다. “라우팅의 혼란은 결국 컨트롤러 설계의 실패에서 시작됩니다.” 🧱 기본 구조 – 컨트롤러는 이렇게 생겼다import { Controller, Get, Post, Body, Param } from '@nestjs/common';i..
-
NestJS 마스터 시리즈 3화. 모듈 시스템 이해하기 – 구조는 결국 모듈에서 시작된다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4. 26. 18:00
“Nest를 Nest답게 만드는 것, 바로 모듈이다” NestJS의 핵심 철학인 모듈 시스템을 실무 관점에서 해부합니다. 기능 단위 설계, 의존성 주입, 루트 모듈 구성부터 feature 모듈 분리 전략까지 실전 예제로 설명합니다. 🧱 NestJS의 구조적 사고는 ‘모듈’에서 시작된다 NestJS는 Express와 다르게 처음부터 모듈 단위 설계를 강제합니다.이는 규모가 커질수록 코드 정돈, 의존성 관리, 테스트, 협업 모든 측면에서 이점을 가집니다. “Nest에서 모듈은 단순한 폴더가 아니라, 독립된 기능 단위의 ‘컨텍스트(Context)’다.” 🔍 모듈이란? 모듈은 NestJS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입니다.@Module()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며, 내부에 다음 네 가지 항목을 가질 수..
-
NestJS 마스터 시리즈 2화. 프로젝트 초기 설정 – CLI로 구조를 잡아보자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4. 26. 13:31
“디렉토리 구조를 이해하면 절반은 먹고 들어간다” NestJS 프로젝트를 Nest CLI로 설정하는 방법과 디렉토리 구조, main.ts, app.module.ts의 역할까지 실무 관점에서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초보 개발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프로젝트 설정 가이드입니다. 🏁 시작부터 구조가 중요하다 NestJS는 단순히 코드 몇 줄로 시작하는 Express와는 다릅니다.NestJS는 아키텍처 기반 프레임워크이며, 설계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그 시작점은 바로 **Nest CLI(Command Line Interface)**입니다. “Nest CLI 없이 Nest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건, 설계도 없이 건축을 시작하는 것과 같다.” 🧰 NestJS 프로젝트 생성하기 1단계: Nest CLI..
-
2025 백엔드 개발자 로드맵 – 기술 스택 선택 가이드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5. 4. 10. 08:50
왜 지금, 로드맵을 다시 점검해야 하는가? 기술 트렌드는 1~2년 사이에도 급격히 바뀝니다.2023년에는 Next.js와 같은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와 서버리스 구조가 각광받았다면,2025년에는 다시금 **“백엔드의 구조적 탄탄함”**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변화가 개발자 로드맵을 다시 고민하게 만듭니다:• AI API의 확산 → 데이터 처리 및 연계 백엔드 중요성 증가• 노코드 툴의 등장 → 진짜 백엔드 역량은 설계와 최적화로 이동•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 인프라 이해도 요구 증가 따라서, 2025년에는 단순히 ‘배우기 쉬운 언어’보다‘비즈니스에 맞는 아키텍처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백엔드 기술 스택, 이렇게 선택하세요 1. Node.js + Express/NestJ..
-
백엔드 개발자, 왜 지금 더 주목받는가? – 2025년 시장 흐름과 커리어 전략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5. 4. 9. 21:43
백엔드 개발자, 지금 왜 중요한가? 요즘 채용 시장에서 백엔드 개발자에 대한 수요가 다시 급증하고 있습니다.ChatGPT, Copilot, 노코드/로우코드 도구가 확산되면서 프론트엔드 자동화는 일부 진입장벽을 낮췄지만, 복잡한 데이터 흐름과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백엔드 영역은 여전히 고급 인력을 요구합니다. 2025년 현재, 특히 다음 산업에서 백엔드 수요가 눈에 띕니다:• 핀테크: 실시간 거래 처리와 보안 아키텍처• AI SaaS: API 서버와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스마트팩토리: IoT 장비 연동 및 데이터 처리 백엔드• 이커머스 플랫폼: 대규모 트래픽 처리와 재고 관리 로직 단순히 코드를 짜는 수준을 넘어서 서비스 전체를 책임지는 구조 설계 능력이 요구되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202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