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
-
Spring Framework 시리즈 14화 – Model, ModelAndView, ResponseEntity 비교와 활용법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7. 2. 11:09
Spring MVC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뷰에 전달하거나, REST API 형태로 JSON 응답을 줄 일이 많습니다. 이때 자주 마주치는 것이 바로 Model, ModelAndView, 그리고 ResponseEntity입니다. 세 가지 모두 응답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지만, 각각의 목적과 사용 방식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의 차이점과 실제 현업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 Model – 뷰(View) 렌더링 중심의 데이터 전달자 Model은 전통적인 MVC 패턴에서 “데이터를 뷰로 넘기는” 역할에 충실한 객체입니다. 주로 JSP, Thymeleaf 같은 템플릿 뷰에서 사용됩니다.@GetMapping("/hello"..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1화 – Spring Boot의 아키텍처 재조명: 왜 우리는 Spring Boot를 선택하는가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30. 11:09
Spring Boot는 이제 단순한 Java 웹 프레임워크를 넘어,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만큼 광범위하게 확장되어 왔습니다. 개발자들은 빠른 개발, 간편한 배포, 강력한 생태계라는 이유로 Spring Boot를 선택하지만, 그 이면에는 잘 설계된 아키텍처적 기반과 의존성 추상화, 그리고 운영까지 고려한 실행 구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Boot의 구조를 기능적 구성 요소가 아니라, 그 철학과 아키텍처적 전략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겠습니다. Spring Boot는 왜 만들어졌는가? 기존의 Spring Framework는 유연하고 강력하지만, 프로젝트 초기 설정과 XML 기반 구성의 복잡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Convention over Co..
-
Spring Framework 시리즈 3화 – @Configuration vs XML – 빈 설정 방식 비교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0. 12:51
Spring Framework에서 빈(Bean)을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 XML 설정과 @Configuration(Java Config)의 차이와 실전 적용 사례를 비교합니다. 어떤 방식이 2025년 현재 기준으로 더 적합한지도 함께 살펴봅니다.스프링 빈 설정 방식의 진화Spring은 초기에는 XML 기반 설정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후 Java 애노테이션 기반 설정(@Configuration, @Bean 등)이 도입되면서 구조의 단순화와 유지보수성 측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구분 XML 기반 설정 Java Config 기반 설정선언 위치.xml 파일자바 클래스설정 방법 태그@Configuration, @Bean가독성구조화됨코드로 직관적 표현 가능리팩토링IDE 지원 제한리팩토링 편리현..
-
Spring Framework 시리즈 1화 – Spring Framework 시작하기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9. 16:26
Spring Framework는 자바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표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핵심 개념인 IoC, DI의 원리를 실전 예제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왜 Spring Framework인가?자바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본 적이 있는 개발자라면 JSP, Servlet 기반 개발이 얼마나 번거롭고, 중복 코드가 많으며, 확장성과 유지보수가 어려운지를 한 번쯤 경험해봤을 것입니다.Spring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핵심 철학은 단순합니다.“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자동으로 연결해주고,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하게 하자.”이 철학을 코드로 구현한 것이 바로 **IoC (제어의 역전)**와 **DI (의존성 주입)**입니다. 이 두 가지가 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