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12화 – IIoT와 MES의 연계 전략: 실시간 흐름의 재구성기술과 산업/도메인 2025. 6. 16. 19:09728x90
스마트팩토리의 본질은 단순한 설비 자동화가 아니라, ‘흐름’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가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이며, 이 흐름을 조직화하고 관리하는 플랫폼이 바로 MES다. 이번 글에서는 IIoT와 MES의 연계를 통해 제조 프로세스의 실시간 가시성과 제어력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아키텍처 설계부터 운영 적용 사례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1. IIoT란 무엇인가? 제조에서의 의미
IIoT는 기존 IT기술과 OT(운영기술)가 통합되어 공정, 설비, 환경, 작업자의 데이터를 센서 및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수집, 전송, 분석하는 기술 체계를 말한다.
핵심 구성 요소:
- 센서 및 엑추에이터: 온도, 압력, 진동, 유량, 위치 등
- 통신 프로토콜: OPC UA, MQTT, Modbus, EtherNet/IP 등
- 게이트웨이 및 엣지 디바이스: 데이터 전처리 및 통신 통합
- 클라우드/온프레미스 플랫폼: 분석, 시각화, 이벤트 처리 등
IIoT는 단순 수집이 아니라, 공정 흐름의 디지털화와 실시간 피드백 루프의 구성이 목표다.
2. MES와 IIoT의 역할 차이와 연계 필요성
MES는 생산계획과 실행, 실적을 관리하는 정보 시스템이며, IIoT는 물리적 세계의 상태를 디지털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분MESIIoT
기능 생산 지시, 실적 관리, 공정 흐름 제어 센싱, 이벤트 수집, 실시간 상태 전송 데이터 흐름 상위계층(ERP)와 실행현장 연결 설비/현장단 → MES 연동 아키텍처 위치 ISA-95 레벨 3 ISA-95 레벨 1~2 중심 즉, IIoT는 MES가 ‘실시간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하위 구조다.
3. 연계 아키텍처 설계 전략
IIoT와 MES가 제대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계층을 넘나드는 설계가 필요하다. 핵심은 데이터 흐름의 일관성과 이벤트 기반 처리 구조다.
아키텍처 요소:
- 센서/PLC → 게이트웨이
- 게이트웨이 → MES 인터페이스 서버
- 이벤트 메시지 큐 (Kafka, MQTT Broker 등)
- MES 이벤트 핸들러 → 실시간 알림/대시보드/지시변경 반영
필수 고려사항:
- Latency 보장: 실시간 처리를 위한 경량 메시징 구조
- 이벤트 식별자 통일: 설비, 작업자, 배치 등과 연결할 수 있는 키 필요
- Failover 처리: 통신 지연 시 대체 경로 확보
4. IIoT-MES 통합의 실전 사례
사례 1: 반도체 후공정 라인 (Discrete + Batch)
- 설비의 에러 상태, 온도 과열 시 이벤트 생성
- MES에 자동으로 경고 + 작업 중단 → 품질 손실 방지
사례 2: 화학 플랜트 (Continuous Process)
- 유량 편차 2% 이상 감지 → MES에 공정 조건 재조정 지시
- 연동된 AI 모델이 품질 예측치 하락 경고 → 원료 투입량 조정
사례 3: 식품 제조 (Batch 중심)
- 온도센서 실시간 피드백으로 과열 배치 실시간 조기 중단
- 이력 자동 기록 (Batch Record) 및 GMP 컴플라이언스 확보
5. 스마트팩토리 구현 시 IIoT-MES 통합 전략의 시사점
- 수동 데이터 입력 제거: 작업자 의존성 최소화 → 정확도 향상
- 공정 이상 감지 속도 단축: 품질 이슈 조기 대응으로 비용 절감
- 디지털 트윈 연계 가능성 확대: 실시간 데이터로 시뮬레이션 가능
- 운영 KPI 실시간 가시화: OEE, Takt Time, MTTR 등 실시간 집계
흐름을 연결하는 기술이 곧 경쟁력이다
제조 데이터가 수집만 되고, 분석되지 않거나 연결되지 않으면 그건 ‘죽은 데이터’다. IIoT와 MES는 각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영역을 넘어 ‘흐름의 연결성’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 제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간 연동이 아닌, 흐름 중심의 설계 사고가 필요하다. IIoT와 MES의 연계는 그 중심축이며, 이 구조를 제대로 설계한 기업만이 제조 AI와 디지털 트윈을 실현할 수 있다.
728x90'기술과 산업 > 도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14화 – 제조 공정별 디지털 트윈 적용 전략: 시뮬레이션 기반 의사결정의 진화 (3) 2025.06.22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13화 – 제조 흐름의 이상 탐지와 대응 전략: AI 기반 이벤트 분석의 실제 적용법 (3) 2025.06.18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11화 – 스마트 제조와 MES의 융합 전략: 실현 가능한 아키텍처와 단계별 접근 (5) 2025.06.09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10화 – 제조 프로세스별 시각화 전략: 흐름 기반 대시보드 설계 (4) 2025.06.05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8화 – 제조 AI 모델링 전략 (품질 예측, 수율 향상, 병목 탐지) (1) 2025.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