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29화 – 넷마블: 외형은 대기업, 실속은 아직?경제와 정치 2025. 6. 18. 16:12728x90
넷마블은 국내 대표 게임 퍼블리셔에서 글로벌 지식재산권(IP) 확보 기업으로 방향을 바꾸고 있다.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자산가치와 미래 성장 시나리오가 주목받는 이유를 분석한다.
1. 기업 개요
- 설립연도: 2000년
- 상장년도: 2017년 (코스피)
- 창업자: 방준혁 의장
- 사업영역: 모바일 게임 개발 및 유통, IP 확보, 메타버스·블록체인 투자
- 2025년 시가총액: 약 4.7조 원
넷마블은 한때 ‘리니지2 레볼루션’의 대성공을 통해 한국 모바일 게임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했지만, 이후 수익성 부진과 신작 부재로 주가와 실적이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넷마블은 단순 게임 퍼블리셔가 아니라, 글로벌 콘텐츠 자산과 지배구조 영향력을 동시에 갖춘 기업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주목할 만한 종목입니다.
2. 사업 구조
구분세부 내용특징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A3: 스틸얼라이브, 세븐나이츠, BTS IP 기반 게임 등 자체 개발 + 글로벌 퍼블리싱 지분 투자 코웨이, 카카오게임즈, 빅히트(하이브) 등 자산가치 보유 신사업 메타버스, 블록체인 게임, IP M&A 실적 기여는 미미 게임이 주력 매출원이지만, 넷마블은 일찌감치 콘텐츠 지식재산권(IP) 중심 전략을 택하며 투자 성향이 강한 기업 구조를 가져왔습니다.
3. 실적 및 재무 지표 (2024 기준)
- 매출: 약 2.8조 원
- 영업이익: -620억 원 (적자 지속)
- 당기순이익: 약 -900억 원
- 현금성 자산: 약 1.5조 원
- 지분가치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 게임 부문만 보면 적자지만, 자산 가치 측면에서 실질 가치는 더 높다는 분석도 존재
4. 최근 사업 변화 및 전략
✅ 신작 출시 강화
- 2024~2025년 출시 라인업: 나혼자만레벨업, 세븐나이츠 키우기, RF프로젝트 등
- ‘흥행성 있는 IP’ 위주로 신작 구성
- 중국 판호(게임 출시 허가) 확보 시점도 관전 포인트
✅ IP 확보 전략
- BTS World, BTS Dream 등 빅히트 IP 기반 글로벌 시장 타깃
- 마블, 디즈니와의 공동 제작 프로젝트도 일부 진행
✅ 신사업 진출
- 메타버스 플랫폼 ‘모두의마블: 메타월드’ 론칭
-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 및 자체 토큰 발행 추진
- (다만 수익화는 아직 미진)
5. 리스크 요인
- 지속된 영업적자: 2021년 이후 3년 연속 적자
- 개발비 부담: 고품질 게임 제작 비용 과중
- 신작 부재 시 타격 심각: 일회성 히트에 따른 불안정한 실적 구조
- 시장 내 경쟁 격화: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등 대형 경쟁사와 동시 출시 압박
6. 핵심 투자 포인트
✅ 지배구조 관점
- 방준혁 의장은 하이브(빅히트), 카카오게임즈, 코웨이 등 다양한 기업에 전략적 투자자 역할
- 미래 지배구조 개편이나 투자 시너지 관점에서 중장기적인 전략적 활용 가능성
✅ 자산 가치
- 보유 지분(코웨이 약 25%, 하이브 약 7%) 등의 가치 합산 시, 장부 가치 대비 저평가 논리 존재
- 자체 보유 현금 여력도 뛰어남 (M&A 여력 보유)
✅ 회복의 열쇠는 신작
- ‘나혼자만레벨업’ 등 자체 인기 IP 기반 게임의 흥행 여부가 반등의 관건
실적은 미약하지만 자산은 강한, 기회가 잠든 기업
넷마블은 지금은 수익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큰 기업입니다. 하지만 콘텐츠 산업이 단순 매출보다는 IP 자산과 장기적 영향력 중심으로 재평가되고 있다는 점에서, 아직 시장이 넷마블을 너무 단기 실적으로만 평가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신작 성공’과 ‘지분 가치 재평가’가 동시에 이뤄지는 순간, 넷마블은 시장에서 다시 부각될 수 있습니다.
728x90'경제와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32화 –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의 개척자, 지금은 ‘통합과 글로벌’의 시간 (1) 2025.06.22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31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산에서 우주까지, ‘국가 전략기업’의 진화 (0) 2025.06.22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28화 – LG생활건강: 뷰티·헬스·홈케어 삼각축의 위기와 반등 가능성 (3) 2025.06.18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27화 – CJ제일제당: 식품과 바이오, 두 산업을 모두 쥔 종합생활기업 (2) 2025.06.18 100대 상장사 분석 시리즈 26화 – 삼성SDI: 배터리 강자의 조용한 진격 (4) 202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