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9화 – 메트릭 수집과 Micrometer 통합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7. 18. 12:24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메트릭 수집을 위한 Micrometer 설정 방법과 Prometheus 연동 전략을 다룹니다. 성능 모니터링과 비즈니스 지표 추적을 위한 실전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어떤 시스템이든 “문제가 생겼을 때 어디서 병목이 발생했는지”, “사용자 수가 늘었을 때 어떤 컴포넌트가 먼저 한계에 도달하는지” 모르면 운영이 어렵습니다.바로 이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메트릭(Metrics) 수집과 시각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Spring Boot는 Micrometer라는 메트릭 수집 라이브러리를 기본으로 통합하고 있으며, Prometheus, Datadog, New Relic 등 다양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Micrometer를 기반으로 Spring Bo..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8화 –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Async의 활용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7. 2. 11:15
Spring Boot에서 비동기 프로그래밍은 단순한 성능 최적화 기술을 넘어, 대규모 서비스 아키텍처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습니다. 특히 @Async 애노테이션은 명확하고 간결한 방식으로 비동기 처리를 가능하게 해주며, Spring의 쓰레드 풀과 연동하여 유연한 확장성까지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Async의 작동 방식부터 실무에서 주의해야 할 활용 전략까지 깊이 있게 분석해봅니다. @Async의 동작 방식 이해 @Async는 내부적으로 TaskExecutor를 통해 메서드 호출을 별도의 쓰레드에서 처리합니다. 호출하는 쪽은 즉시 반환되며, 해당 메서드는 별도 쓰레드에서 비동기로 실행됩니다.@Asyncpublic void sendNotification(String message) { // 외..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7화 – 도메인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설계와 적용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22. 13:23
애플리케이션이 점차 복잡해질수록 하나의 행위가 여러 결과를 유발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회원 가입을 처리하면서 이메일 인증을 보내고, 추천인 포인트를 지급하고, 가입 로그를 저장하는 등 다양한 후속 로직이 따라붙습니다. 이 모든 것을 하나의 서비스 메서드 안에 처리한다면, 유지보수와 테스트는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이럴 때 가장 효과적인 해법은 도메인 이벤트(Domain Event) 기반으로 부수 효과를 분리하는 설계입니다. 도메인 이벤트란 무엇인가? 도메인 이벤트는 말 그대로, 도메인 내에서 발생한 의미 있는 사건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회원이 가입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하나의 이벤트입니다.이벤트는 명령(Command)이 아닌, 발생한 사실을 기술하는 객체입니다.그에 반응하는 로직은 이벤트 리스..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6화 – 트랜잭션 경계와 영속성 컨텍스트: JPA의 진짜 작동 원리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22. 13:21
Spring Boot + JPA 환경에서 트랜잭션의 범위와 영속성 컨텍스트의 생명주기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설명합니다. flush 타이밍, LazyInitializationException, 성능 최적화 전략까지 실전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왜 트랜잭션과 영속성 컨텍스트를 구분해야 하는가? Spring Boot에서 JPA를 사용할 때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쓰는 것이 익숙하실 겁니다. 그러나 이 어노테이션 하나로 JPA가 “정상 동작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입니다.실제로 JPA의 핵심 로직은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라는 개념 위에서 돌아갑니다. 그리고 이 컨텍스트의 생성과 종료 시점은 트랜잭션 경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1. 트랜잭션과..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5화 – JPA 설정 최적화 전략: 성능을 결정짓는 기본기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16. 18:33
Spring Boot에서 JPA를 사용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설정 최적화 전략을 정리합니다. DDL 자동 생성, 지연 로딩, N+1 문제, 배치 사이즈, 식별자 전략 등 실무에서 성능과 안정성을 좌우하는 핵심 개념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도입 – 왜 JPA 설정은 ‘기본기’ 이상이어야 하는가? Spring Boot에서 spring-boot-starter-data-jpa를 사용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그러나 그 설정을 ‘기본값’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엔티티의 설계와 JPA의 설정은 시스템의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JPA 설정 최적화 전략을 정리합니다. 1. DDL 자동 생성은 개발 환경에서만 Spring Boot의 기..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4화 – 프로파일 기반 구성 전략 완전 정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9. 19:26
Spring Boot의 @Profile, application-{profile}.yml, 외부 설정 등 다양한 프로파일 기반 구성 전략을 정리합니다. 운영 환경 분리에 따른 실무 적용 예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Spring Boot는 다양한 실행 환경(개발, 테스트, 스테이징, 운영 등)에 맞춰 설정을 유연하게 분리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파일(Profile) 기능을 제공합니다. 실무에서는 이 기능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프로젝트의 유지보수성과 안정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한 구성 전략을 심층적으로 파헤쳐봅니다.1. 프로파일이란 무엇인가?Spring의 프로파일은 조건부 Bean 등록 및 설정 파일 분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예를 들어, 개발 환경에서는 H2..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3화 – 트랜잭션 전파와 고립 수준,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5. 18:24
트랜잭션 처리는 단순히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붙이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실제 서비스 로직이 복잡해질수록 트랜잭션의 “전파(propagation)”와 “고립 수준(isolation level)”을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개념을 하나씩 짚어보며, 실전에서 어떤 상황에 어떤 전략을 택하는 것이 좋을지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트랜잭션 전파(Propagation) – 어떤 트랜잭션을 따를 것인가? 스프링은 메서드 실행 시, 현재 트랜잭션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거나 기존 트랜잭션을 이어받는 전략을 Propagation 속성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합니다. 자주 쓰는 전파 전략전파 옵션설명실전 사용 예REQUIRED기본값. 기..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2화 – Spring Bean 생성 전략: @Configuration, @Component, @Bean의 차이와 활용법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2. 10:07
Spring Boot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활용하다 보면, 애플리케이션 전체 구조를 설계할 때 Bean 정의 방식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에서 Bean을 정의하는 세 가지 주요 방식인 @Configuration, @Component, @Bean의 차이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각 방식이 실제 아키텍처 설계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pring Boot에서 Bean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Configuration, @Component, @Bean의 차이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실전 설계에서 어떤 전략으로 선택해야 하는지를 설명합니다.@Component 기반 자동 스캔: 간단하지만 통제가 어렵다@Component는 Spring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