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
Spring Boot 고급 시리즈 1화 – Spring Boot의 아키텍처 재조명: 왜 우리는 Spring Boot를 선택하는가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30. 11:09
Spring Boot는 이제 단순한 Java 웹 프레임워크를 넘어,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만큼 광범위하게 확장되어 왔습니다. 개발자들은 빠른 개발, 간편한 배포, 강력한 생태계라는 이유로 Spring Boot를 선택하지만, 그 이면에는 잘 설계된 아키텍처적 기반과 의존성 추상화, 그리고 운영까지 고려한 실행 구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Boot의 구조를 기능적 구성 요소가 아니라, 그 철학과 아키텍처적 전략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겠습니다. Spring Boot는 왜 만들어졌는가? 기존의 Spring Framework는 유연하고 강력하지만, 프로젝트 초기 설정과 XML 기반 구성의 복잡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Convention over Co..
-
Spring Boot 시리즈 40편 – 실무에서의 Spring Boot CI/CD 구축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30. 11:05
Spring Boot 프로젝트의 실제 운영 환경에 적용 가능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전략을 정리합니다. GitHub Actions, Jenkins, Docker, AWS 기반의 배포 자동화 사례까지 포함하여 실무 적용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Spring Boot로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운영 환경에 안정적으로 배포하기 위해서는 개발 완료 후 ‘버튼 한 번’으로 배포가 끝나는 CI/CD 환경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 프로젝트에 특화된 CI/CD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실무에서의 DevOps 흐름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왜 Spring Boot에 CI/CD가 중요한가? Spring Boot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빠르게 개발하여 빠르게 검증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
-
Spring Boot 시리즈 38편 – Spring Boot에서 분산 트레이싱(Distributed Tracing) 적용하기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9. 17:11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요청 흐름을 추적하는 것은 서비스 운영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 분산 트레이싱을 적용하는 방법과 실제 오픈소스 도구 Zipkin, OpenTelemetry 등을 연동하는 실전 전략을 다룹니다.마이크로서비스에서의 '보이지 않는 호출'Spring Boot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지만, 서비스가 여러 개로 나뉘면 트랜잭션이나 요청 흐름이 어디에서 시작해 어디에서 병목이 발생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특히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배포되고 통신은 HTTP/gRPC 등으로 비동기화되는 구조라면, 단순한 로그만으로는 전파 흐름을 추적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
-
Spring Boot 시리즈 37편 – 실시간 기능을 위한 WebSocket 연동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9. 16:56
실시간 기능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특히 알림, 채팅, 모니터링, IoT, 협업 툴 등에서는 WebSocket을 통한 실시간 양방향 통신이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에서 WebSocket을 적용하는 전략과 실무 예제를 중심으로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WebSocket이 필요한 이유HTTP는 본질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해야 서버가 응답을 주는 구조입니다. 이 방식으로는 실시간 알림이나 채팅처럼 서버가 먼저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 시나리오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ebSocket이 등장했습니다.WebSocket은 TCP 기반의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하며 실시간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Sprin..
-
Spring Framework 시리즈 7화 – @Value와 Environment로 설정값 주입하기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7. 19:07
Spring Framework에서 @Value 애노테이션과 Environment 객체를 사용해 외부 설정값을 주입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프로퍼티 파일을 기반으로 한 환경 구성, 기본값 처리, 환경 분기 방법까지 실습 예제로 소개합니다.왜 외부 설정이 필요한가?코드에 설정값을 하드코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운영 환경마다 값이 달라 배포가 복잡해짐비밀번호나 토큰이 노출되어 보안 취약리팩토링/재사용이 어렵고 유지보수가 힘듦스프링은 설정값을 외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application.properties나 application.yml 파일을 통해 구성하고, 이를 주입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1. @Value 애노테이션 – 간단한 주입@Componentpublic class AppI..
-
Spring Framework 시리즈 3화 – @Configuration vs XML – 빈 설정 방식 비교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0. 12:51
Spring Framework에서 빈(Bean)을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 XML 설정과 @Configuration(Java Config)의 차이와 실전 적용 사례를 비교합니다. 어떤 방식이 2025년 현재 기준으로 더 적합한지도 함께 살펴봅니다.스프링 빈 설정 방식의 진화Spring은 초기에는 XML 기반 설정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후 Java 애노테이션 기반 설정(@Configuration, @Bean 등)이 도입되면서 구조의 단순화와 유지보수성 측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구분 XML 기반 설정 Java Config 기반 설정선언 위치.xml 파일자바 클래스설정 방법 태그@Configuration, @Bean가독성구조화됨코드로 직관적 표현 가능리팩토링IDE 지원 제한리팩토링 편리현..
-
Spring Framework 시리즈 2화 – @Component와 @Autowired로 의존성 주입 구현하기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20. 12:49
Spring의 의존성 주입(DI)을 구성하는 기본 애노테이션인 @Component와 @Autowired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실제 코드 예제와 함께 알아봅니다.의존성 주입(DI)은 왜 중요한가?Spring에서 **DI(Dependency Injection)**는 객체 간 의존 관계를 외부에서 주입받는 방식으로 구성해 유연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확보합니다.직접 new로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은 강한 결합을 유발하며, 테스트 시 Mock 객체를 주입하기도 어렵습니다.Spring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애노테이션들을 제공합니다:@Component: 스프링이 관리할 객체(빈)를 선언@Autowired: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빈을 자동으로 주입실습 예제 – 자동차와 엔진1. 의존 관계 정의// Engine.j..
-
Spring Framework 시리즈 1화 – Spring Framework 시작하기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5. 19. 16:26
Spring Framework는 자바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표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핵심 개념인 IoC, DI의 원리를 실전 예제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왜 Spring Framework인가?자바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본 적이 있는 개발자라면 JSP, Servlet 기반 개발이 얼마나 번거롭고, 중복 코드가 많으며, 확장성과 유지보수가 어려운지를 한 번쯤 경험해봤을 것입니다.Spring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핵심 철학은 단순합니다.“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자동으로 연결해주고,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하게 하자.”이 철학을 코드로 구현한 것이 바로 **IoC (제어의 역전)**와 **DI (의존성 주입)**입니다. 이 두 가지가 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