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1 피터슨] Day 8 - 세상은 당신의 것이다.기록 2023. 1. 28. 13:47반응형
인생은 우리가 원하는 데로 흘러가지 않아요.
그래서 질문을 던지요 "왜지?"
우선 비극적이고 힘든 일을 나중에 말하죠.
그런 일들은 뻔하기 때문이죠.
오늘은 다른 것에 대해 애기해 볼거에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비극적인 일들은 항상 불확실하지만,
저는 결코 그 비극적인 일들이 그 사람들에게 마땅하게
일어나야 하는 거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이런 생각은 정말 위험한 생각일 수도 있어요.
왜냐하면 우리 모두가 언젠가는 아프고 죽기 때문이죠.
하지만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사실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먼저 여러분들이 스스로 '좋은 것'을 얻을 확률은...
사실 '좋은 것'이라는 것이 당신이 '원하는 것'보다 더 좋을 거에요.
왜냐하면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스스로 모를 수도 있기 떄문이에요.
하지만 어쩌면 당신은 스스로에게 '정말 좋은 것'을 얻어줄 수도 있어요.
그런데 왜 그렇게 안 하시나요?
이유는 당신은 노력조차 안 하기 때문이죠.
"좋았어, 내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면, 이렇게 하겠어"
이런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당신이 편법을 사용해서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으라는 말을 하는 게 아니에요.
그 반면에 이런 거죠...
당신 스스로를 당신이 정말 소중히 대하는 사람처럼 대한다고 상상해보세요.
그럼 이렇게 생각 하겠죠.
"나는 이 사람을 정말 아끼니까, 이 사람에게 좋은 일만 일어나면 좋겠어"
그럼 그 사람이 그런 이상적인 삶을 살려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여기서 문제는, 실제 사람들은 이 과정을 생각하지 않아요.
사람들은 앉아서 "흠.... 내가 성공하려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
우리에겐 각자의 인생이 있습니다. 당연한 소리지만요.
"인생 살기 힘들다"
당연한 소리죠!
3년이면 당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어요.
하지만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어요
당신은 '모든 걸' 가질 수 없어요.
하지만 당신은 '좋은 것'을 가질 수는 있지만
그전에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야 해요.
그리고 그것을 목표로 삼아 나아가야 해요.
제가 여태 살아온 경험에 의하면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알아내고,
그것을 목표로 삼는다면, 그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겁니다.
여기 정말 묘한 부분이 있어요.
정말 이상한점은
보기보다 쉽지는 않다는 점이에요.
왜냐하면, 당신은 스스로 성공적인 삶을 계획해서
그 목표를 향해 조금 나아가다 보면,
당신의 계획이 조금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당신은 목표를 재구성해야 해요.
그래서 사실 당신이 생각하는 성공적인 삶까지
이러한 형태로 조금 돌아 나아가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실패하는 이유 중 굉장히 큰 부분은
애초에 성공의 기준과 계획을 세우지 않기 때문이에요.
성공적인 삶을 사는 것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정말 어렵기 때문에 그냥 운이 좋아서 어쩌다가 노력 없이
성공적인 삶을 살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요.
여기 가정을 하나 해봅시다.
"당신이 무언가를 진정으로 원한다면"
"당신은 가질 수 있어요"
이제 질문은 "'진정으로 원한다는 것'은 뭘 뜻하는 건가요?" 이겠죠
거기에 대한 답변은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해 당신의 삶을 여러 방면으로 계획해서
당신이 이상하는 삶이 일어나도록 확률을 높이는 것입니다.
한 가지 말해두자면, 노력 없이는 결코 얻지 못할 겁니다.
당신은 노력없이 원하는 걸 가질 수 없어요.
당연한 말이죠!
하지만 노력한다면 적어도 당신이 필요한 것은 얻을 수 있을 거에요.
원하는 걸 얻기 위해서는 진정으로 자신에게 물어보고 요구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여기서 '물어보는 것'은 변덕스러운 감정이나 소망 같은게 아닙니다.
죽을 각오를 하고 웃음기 하나 없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 거죠.
"내 인생을 걸어보겠어" 이렇게 말이에요.
"내가 정말 제대로 살아갈 거라면,
내가 정말 이 악물고 제대로 살아보겠다면,
정말 객관적으로 나를 바라보고 계획을 한다면
정확히 무엇을 목표로 삼을 것인가?"
제가 이 이론을 연구하면서 알아낸 방법 중 하나가 있어요.
이렇게 한 번 해보세요.
자아설찰의 한 형태인데, 스스로에게 노크하는 것이죠.
침대에 앉아서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내가 매일 나 자신을 속이고 내 인생을 규칙적으로
망가뜨리는 행동들이 뭐가 있지?"
이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보면
물론 여러분은 질문의 답을 찾고 싶어 해야 해요.
왜냐하면 그게 애초에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는 이유이니까요.
그냥 깊이 생각하지 않고 스스로에게 대충 던져보는게 아니라는 말이에요.
정말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 생각해 볼 시간을 주는 거에요.
한 번만 해본다면, 생각보다 너무 빨리 정답을 알아내서 소름이 돋을 수도 있어요.
"나는 이 세상에서 가능한 한 최선의 방식으로 나 자신을 나타낼 것이다."
"나는 그렇게 되길 원한다."
그렇게 하려면 어떻게 하루를 살아야 되겠나요?
물론 여러분들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요.
여러분들은 엄청난 상상력과 꿈과 환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힘과 가능성이 있어요!
오직'신'만이 어떻게 그 모든 것을 해낼 수 있는지 알겠지만요.
그렇다면 여러분이 스스로에게 이상적인 삶을 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물어보고 요구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답을 얻을 확률이 매우 높겠죠.
반응형'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 피터슨] Day 5 - 삶은 고통입니다. (0) 2023.01.28 [1일 1 피터슨] Day 6 - 제발 인생 낭비좀 하지 마세요. (4) 2023.01.28 [1일 1 피터슨] Day 7 - 이렇게 하면 원하는 걸 가질 수 있습니다. (0) 2023.01.28 [1일 1피터슨] Day9 - 25살 때 어땠나요? (1) 2023.01.28 [1일 1피터슨] Day 10 - 야동에 빠진 젊은 청년들 (0) 2023.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