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pring Framework 시리즈 14화 – Model, ModelAndView, ResponseEntity 비교와 활용법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7. 2. 11:09
Spring MVC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뷰에 전달하거나, REST API 형태로 JSON 응답을 줄 일이 많습니다. 이때 자주 마주치는 것이 바로 Model, ModelAndView, 그리고 ResponseEntity입니다. 세 가지 모두 응답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지만, 각각의 목적과 사용 방식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의 차이점과 실제 현업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 Model – 뷰(View) 렌더링 중심의 데이터 전달자 Model은 전통적인 MVC 패턴에서 “데이터를 뷰로 넘기는” 역할에 충실한 객체입니다. 주로 JSP, Thymeleaf 같은 템플릿 뷰에서 사용됩니다.@GetMapping("/hello"..
-
제조 프로세스 이해 시리즈 18화 – 디지털 트윈과 산업별 제조 시뮬레이션 적용 전략기술과 산업/도메인 2025. 7. 2. 11:06
디지털 전환이 제조업을 재정의하는 시대, 핵심 키워드로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입니다. 단순한 시각화 툴을 넘어, 제조 현장의 물리적 현실을 정밀하게 반영하고 시뮬레이션 가능한 상태로 확장하는 디지털 트윈은 이제 스마트 제조의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18화에서는 디지털 트윈의 기본 구조, 제조 프로세스와의 연계 구조, 그리고 산업별로 어떻게 이 기술이 실질적인 경쟁력으로 연결되는지를 분석해봅니다. 디지털 트윈의 본질: 실시간 복제체 그 이상 디지털 트윈은 단순히 3D 모델링이나 센서 데이터를 보여주는 시스템이 아닙니다. 물리 세계(Physical Entity)와 가상 세계(Virtual Entity)를 실시간으로 연결하고, 그 안에서 의사결정, 예측..
-
100대 상장사 분석 38화 – 삼성SDS: 디지털전환 핵심 파트너, 그 진짜 경쟁력은?경제와 정치 2025. 7. 2. 11:03
삼성SDS는 단순 IT서비스 기업이 아닙니다. 클라우드, AI, 물류 솔루션까지 디지털 전환의 본질에 깊숙이 관여하는 이 기업의 전략과 수익 구조를 분석합니다. 삼성SDS는 어떤 회사인가? 삼성SDS는 1985년 삼성그룹의 전산실을 모태로 설립된 삼성그룹의 IT 서비스 전문 기업입니다.많은 투자자들이 ‘그냥 그룹 내부 IT를 맡는 회사 아니야?’ 정도로 치부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B2B 클라우드, AI, 물류 최적화, 보안 등 디지털 전환 전 영역을 커버하는 구조로 진화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단순 외주 개발에서 벗어나 플랫폼 중심의 사업 모델 전환, 그리고 물류 BPO 서비스의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사업 구조: IT서비스와 물류BPO의 두 축 삼성SDS의 매출은 크게 IT서비스 부문과 물류BP..
-
100대 상장사 분석 38화 – SK텔레콤: AI 통신을 향한 수직 질주경제와 정치 2025. 7. 1. 12:16
통신사가 아니라 AI 컴퍼니? SK텔레콤의 정체성 변화 한때는 단순한 이동통신사로 불리던 SK텔레콤이 이제는 “AI 컴퍼니”를 자처하고 있습니다. 단지 마케팅 슬로건이 아니라, 실제 사업 구조와 전략 방향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본격화된 이 AI 전환 전략은 단순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넘어, AI 기반 플랫폼 기업으로의 재정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통신 매출의 정체 속에서 새로운 성장 축을 발굴하려는 전략적 시도로 읽힙니다. 실적 구조의 이중성: 안정적 캐시카우 vs 미래 투자의 딜레마 SK텔레콤의 매출 구조는 크게 세 갈래로 나뉩니다. MNO (이동통신): 여전히 전체 매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SKT의 가장 안정적인 캐..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시리즈 12화 – 이벤트 소싱의 개념과 도입 시 고려사항기술과 산업/아키텍처 2025. 6. 27. 13:02
도메인 주도 설계 이후,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로 확장 지난 회차에서 도메인 주도 설계(DDD)를 중심으로 도메인 로직을 어떻게 구조화할 수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그 연장선에서, 최근 아키텍처 설계 시 자주 등장하는 이벤트 소싱(Event Sourcing) 개념과 이를 도입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실무 포인트를 살펴보려 합니다. 이벤트 소싱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 방식’이 아닙니다. 도메인의 상태를 ‘이벤트의 흐름’으로 저장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며, 복잡한 업무 로직이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특히 큰 장점을 가집니다. 이벤트 소싱이란? 이벤트 소싱은 기존의 CRUD 모델처럼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상태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상태 변화를 이벤트 단위로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즉, 도메인..
-
100대 상장사 분석 35화 – LX세미콘: 팹리스 대표주자, 반도체 독립을 향한 질주경제와 정치 2025. 6. 26. 17:21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차량용 반도체, SoC(System on Chip) 시장은 몇 년 전만 해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대형 메모리 업체 중심으로만 조명됐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팹리스(Fabless) 기업들의 존재감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기업이 바로 LX세미콘입니다. LG그룹에서 독립한 팹리스 기업이라는 태생적 배경과 함께, 자동차 반도체 수요 증가,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 흐름에 올라탄 대표 기업 중 하나죠. 이번 글에서는 이 기업이 어떤 구조로 성장해왔고, 어떤 산업적 포지션을 점유하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의 존재감: 팹리스 기업으로 성장 LX세미콘은 반도체 제조라인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설계에만 집중하는 팹리스(Fabless) 모..
-
100대 상장사 분석 34화 – LG유플러스: B2B 전환 가속화, 통신 그 이상으로경제와 정치 2025. 6. 26. 17:19
국내 통신 3사 중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존재감이 약하다고 평가되던 LG유플러스는, 지난 3년간 조용하지만 강하게 체질 개선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단순한 통신 서비스 제공자를 넘어, B2B 중심 플랫폼 사업자로의 전환을 선언한 이후 실적과 전략 모두에서 의미 있는 신호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부터 본격화된 기업용 통신 및 스마트팩토리·물류 솔루션 등 B2B 사업 강화는 LG유플러스가 기존 한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곡선을 만들 수 있을지를 가늠할 핵심 포인트로 떠올랐습니다. 통신 3위의 현실, 하지만 정체된 ‘통신’에서 벗어난다 LG유플러스는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IPTV 등 소비자 대상의 전통적인 통신 3대 사업 부문에서 꾸준한 매출을 유지하고 있으나, 시장점유율은 3위에 머무르고 있..
-
Spring AI 시리즈 9화 - Milvus와 Spring AI 통합 전략기술과 산업/언어 및 프레임워크 2025. 6. 26. 16:46
Milvus는 AI용 벡터 DB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고차원 벡터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고, 수억 개의 임베딩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RAG 구현 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AI 환경에서 Milvus를 연동하고, 실제로 벡터 검색에 활용하는 실전 전략을 다뤄보겠습니다. Milvus가 RAG 벡터 DB로 주목받는 이유 Milvus는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Spring AI 기반의 벡터 검색 시스템에서 매우 유리한 선택지로 꼽힙니다. 높은 성능과 확장성: 수억 개의 벡터를 고속으로 인덱싱하고 검색할 수 있음유연한 인덱스 구조: IVF_FLAT, HNSW, DiskANN 등 다양한 벡터 인덱싱 알고리즘 지원GRPC 기반..